(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인텔이 인공지능(AI) 컴퓨팅에 중점을 둔 반도체를 선보였다. 로이터 등 외신은 인텔이 10일(현지 시간) 엔비디아(NVDIA)가 선점하고 있는 AI 반도체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AI 반도체 가우디2를 내놨다고 보도했다.

가우디2는 인텔이 2019년 말 2조5500억원(20억 달러)에 인수한 이스라엘 AI 반도체 스타트업 하바나랩스의 2세대 프로세서다. AI 컴퓨팅이 데이터센터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부문 중 하나인 가운데 하바나랩스는 최근 몇 년간 막대한 투자를 받아왔다.

많은 AI 연구자들과 회사들이 엔비디아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CUDA를 사용하는 데 익숙해져 있어 엔비디아의 시장 점유율을 파고드는 것은 어려운 과제로 여겨지고 있는 상황이다. 인텔은 새로운 AI 컴퓨팅용 반도체 외에도 소프트웨어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에탄 메디나 하바나랩스 최고사업책임자(CBO)는 “CUDA는 엔비디아가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는 무기가 아니다”라며 “인텔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개방형 표준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사이트 깃허브(GitHub)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해 사용할 수 있어 이제 문제는 누가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느냐다”라고 밝혔다.

(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메디나 CBO는 가우디2가 하바나랩스의 이전 AI 반도체보다 2배 빠른 속도로, TSMC에서 기존 16나노미터 기술에서 개선된 7나노미터 기술로 제조됐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 기술이 미세할수록 더 빠르고 강력한 성능을 낼 수 있다.

인텔은 또 AI 알고리즘을 사용해 예측하거나 개체를 식별하는 추론 작업을 위한 그레코라는 새로운 반도체도 내놨다.

산드라 리베라 인텔 데이터센터 및 AI 부문장은 “AI 반도체 시장이 향후 5년간 매년 25% 성장해 약 64조원(5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투자하고 혁신할 예정으로 팀을 확대하고 다른 회사를 인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투자를 더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AI타임스 이한선 객원기자 griffin12@gmail.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