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전국 최초로 구축한 민·관·군·경 통합드론 영상 공유 시스템이 행안부 주관 '적극 행정을 통한 규제 혁신'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사진=광주광역시 안전정책관실 제공). 
광주광역시가 전국 최초로 구축한 민·관·군·경 통합드론 영상 공유 시스템이 행안부 주관 '적극 행정을 통한 규제 혁신'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사진=광주광역시 안전정책관실 제공). 

"구축된다면 안전한 광주를 만드는데 큰 도움이 되겠네요. 제가 무등산이든 송산유원지든 위험에 빠졌을 때 곧바로 현장 영상이 전송돼 빠른 시내 안에 구조될 수 있잖아요."

광주 드론 통합운용단이 참여한 양궁월드컵 대비 훈련을 바라본 이들의 후기다. 광주광역시는 올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민·관·군·경이 드론 영상을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에 드론 통합 운용단이 광주에서 펼쳐지는 국제 행사나 각종 훈련, 재난 대비 등에 참여하게 된 것이다. 

드론영상공유 운용시스템은 각종 재해·재난 등 비상상황 발생을 대비해 광주시에 관제센터를 구축하고 사건 발생 시 촬영용 센서를 장착한 드론이 현장으로 즉각 날아가 재난 등 비상 상황을 실시간 영상으로 시 종합상황실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시스템 구축을 위해 광주광역시는 국가정보원 광주지부, 31보병사단, 광주경찰청, 공군1전투비행단, 331안보지원부대, 민간 드론동호회 등 기관들과 손을 잡았다. 

남창식 비상대비팀장과 나우철 주무관, 안전정책관실 직원들은 각 기관들을 설득하기 위해 부단히 애썼다. (사진=광주광역시 안전정책관실 제공). 
남창식 비상대비팀장과 나우철 주무관, 안전정책관실 직원들은 각 기관들을 설득하기 위해 부단히 애썼다. (사진=광주광역시 안전정책관실 제공). 
광주 통합드론 영상 시스템 관계자들이 회의하고 있는 모습. (사진=광주광역시 안전정책관실 제공). 
광주 통합드론 영상 시스템 관계자들이 회의하고 있는 모습. (사진=광주광역시 안전정책관실 제공). 
광주광역시는 지난해 10월 재해 재난 등 비상시 공동대응을 위한 '민관군경 통합드론영상 시스템 구축 협약식'을 체결했다. (사진=광주광역시 제공). 
광주광역시는 지난해 10월 재해 재난 등 비상시 공동대응을 위한 '민관군경 통합드론영상 시스템 구축 협약식'을 체결했다. (사진=광주광역시 제공). 

이 시스템 구축은 광주시 공무원의 '번뜩이는 아이디어'로부터 시작됐다. 광주광역시 안전정책관실에 근무하는 나우철 주무관은 재난·재해 시 골든타임을 놓쳐 사고가 커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광주시가 인공지능(AI) 중심도시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재난·재해가 벌어지면 AI가 현재는 뚜렷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점도 안타까웠다고 한다. 

나 주무관은 그렇게 드론 영상 공유 시스템을 고안해냈다. 테러·재난·통합방위사태 등 국가 위기상황과 지진·산불 등 자연재해, 각종 사고 등에 대처하는 쪽으로 정책이 다듬어졌다. 남창식 비상대비팀장과 안전정책관실 직원들이 머리를 맞댄 끝에 최종 아이디어가 나왔다. 아이디어가 발굴됐지만 정보기관과 군, 경찰 등의 영상을 한데 모은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 기관 간의 보안 문제가 얽혀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20일 오후 광주 서구 광주도시공사 옥상에서 광주시와 광주도시공사 합동으로 미사일 공격에 따른 옥상 대피를 가장한 '2022년 민방위 토의형 훈련'이 펼쳐지고 있다. (사진=광주광역시 제공).
지난달 20일 오후 광주 서구 광주도시공사 옥상에서 광주시와 광주도시공사 합동으로 미사일 공격에 따른 옥상 대피를 가장한 '2022년 민방위 토의형 훈련'이 펼쳐지고 있다. (사진=광주광역시 제공).
양궁월드컵 성공 개최 지원을 위한 대테러훈련에 참가한 드론운용단. 왼쪽부터 조훈도 남구지회장, 이병수 부단장, 조우찬 대원, 이유상 서구지회장, 황예원 대원, 김영미 대원, 김백수 북구지회장, 김한신 대원, 오석교 대원, 김성봉 광산구지회장. (사진=광주광역시 안전정책관실 제공). 
양궁월드컵 성공 개최 지원을 위한 대테러훈련에 참가한 드론운용단. 왼쪽부터 조훈도 남구지회장, 이병수 부단장, 조우찬 대원, 이유상 서구지회장, 황예원 대원, 김영미 대원, 김백수 북구지회장, 김한신 대원, 오석교 대원, 김성봉 광산구지회장. (사진=광주광역시 안전정책관실 제공). 

각 기관을 설득하기 위해 남창식 비상대비팀장과 나우철 주무관은 부단히 노력했다. 이에 전국 최초 민·관·군·경 드론 영상 공유 시스템을 구축해냈다. 전무한 사례다. 이같은 성과를 내는 데까지 나우철 주무관을 비롯 안전정책관실 직원들의 공이 컸다. 광주시가 전국 최초로 구축한 드론 영상 공유 시스템이 최근 행정안전부 주관 2022년 1분기 '적극 행정을 통한 규제혁신'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전국 403건의 행정 사례 가운데 최종 8건(시민안전 강화 분야)에 이름을 올린 것이다. 기존 사업에서 착안한 것이 아닌 누구도 해보지 못한 새로운 행정 시스템을 고안·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행정을 바꾼 셈이다. 나우철 주무관은 "직원들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에 좋은 결과가 있었던 것 같다"며 "협조에 응해준 각 기관들과 생업이 있어도 언제나 시민 안전을 위한 마음으로 현장에 달려가는 드론운용단에게 감사 말씀 드리고 싶다"고 밝혔다.  

AI타임스 유형동 기자 yhd@aitimes.com

[관련 기사] [해시태그AI] 노래·춤까지 매력 많은 '가상인간'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관련 기사] 레고처럼 조립하는 서비스 로봇, 우리나라가 국제표준 선점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