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Meta)가 페이스북 광고 알고리즘 체계를 올해 안에 수정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메타에 대해선 그동안 인종, 성별, 우편번호에 따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주택 광고를 알고리즘으로 제한했다는 혐의가 제기돼 왔다. 미 법무부(Justice Departement)는 이런 혐의를 인정해 메타에 벌금 11만5054달러(약 1억5000만원)를 부과했다.
미 뉴욕타임스(NYT)는 메타가 페이스북 광고 알고리즘으로 인한 차별을 줄이기 위해 해당 시스템을 전면 교체하기로 했다고 2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날 공개된 미 법무부 발표에 따르면 메타는 인종, 종교, 장애 여부, 직업, 가족, 출신 국가 데이터를 사용해 주택 광고 접근성을 조종했다는 혐의를 받아왔다.
법무부는 메타가 자체 개발한 광고 타겟팅 도구인 ‘Look like Audience’와 ‘Special Ad Audience’를 주목했다. 광고주가 선택한 개인 그룹과 유사한 데이터를 가진 페이스북 사용자를 찾는 도구다. 법무부는 메타가 해당 툴로 주택 광고 접근 사용자를 인종, 종교, 성별에 따라 제한했다는 입장이다.
페이스북 광고 시스템, 어떻게 바꾸나
미 법무부는 페이스북 광고 알고리즘 시스템이 그동안 공정주택법(Fair Housing Act)을 어긴 것으로 판단했다. 주택 광고는 누구나 볼 권리가 있는데도 이를 페이스북이 특정 알고리즘으로 차단해서다. 이에 따라 메타에 벌금 11만5054달러(약 1억5000만원)를 물렸다.
NYT에 따르면 법무부는 메타에 "올해 안에 타켓 광고 툴(Look like Audience, Special Ad Audience) 사용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는 주택 광고 부문에 해당된다. 새로운 광고 시스템개발도 요청했다. 페이스북 사용자 인종, 성별 등에 따라 광고 접근을 알고리즘으로 조종하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다.
새로운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법무부는 제3자 검토자를 선정해 지속적으로 조사한다. 이전처럼 페이스북 광고 알고리즘이 일정한 사용자한테만 보이는지 확인하겠다는 방침이다. 법무부 요구사항을 진행하지 않거나 미흡한 점이 보이면 미국은 연방법원을 통해 메타에 소송을 제기한다.
페이스북 광고 알고리즘 편향성은 2016년 미국 비영리 언론매체 프로퍼블리카(ProPublica)의 보도에서 처음 드러났다. 마케터가 광고 목적으로 특정 인종 집단을 배제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공개한 기사다.
이후 2019년 당시 주택도시개발부 장관이었던 벤 카슨(Ben Carson)은 “페이스북이 인종, 종교, 장애 여부에 따라 악랄하게 사람을 차별하는 광고 시스템을 갖고 있다”고 공개 비난했다. 같은 해 주택도시개발부는 페이스북이 공정주택법을 위반해 주택 차별을 심화한 혐의로 고소했다. 당시 개발부 측은 “페이스북 주택 광고 시스템이 다양한 사용자에 접근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관련 기사]메타, 명품 아바타 스토어 출시
[관련 기사]메타, ‘청소년 착취’ 플랫폼으로 피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