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장익환 LG전자 BS사업본부장과 (오른쪽) 송재호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사진=LG전자)
(왼쪽) 장익환 LG전자 BS사업본부장과 (오른쪽) 송재호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사진=LG전자)

국내 '서비스 로봇' 사업이 확대되고 있다. LG전자와 KT가 로봇 기술에 네트워크를 결합하는 기술 개발을 위해 손잡았다.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송재호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장익환 LG전자 BS사업본부장 등이 참석해 국내 서비스 로봇 사업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LG전자와 KT는 ▲로봇 신사업 발굴 확대 ▲연구개발 협력 체제 구축 ▲로봇 산업 경쟁력 강화 목표를 단계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LG전자는 ▲자율주행 ▲센서 ▲인공지능(AI) ▲카메라 등 로봇 핵심 기술을 활용한다. KT는 그동안 안내, 배송, 서빙 로봇에 탑재한 통신∙네트워크 기술력을 제공한다.

LG전자는 로봇∙통신 기술을 결합해 로봇 솔루션을 더욱 고도화해 판매량 상승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입장이다. LG전자 BS사업본부장을 맡은 장익환 부사장은 “이번 협업을 통해 더욱 많은 고객이 다양한 공간에 최적화된 LG전자의 맞춤형 로봇 솔루션을 경험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LG전자 로봇 솔루션. (사진=LG전자)
LG전자 로봇 솔루션. (사진=LG전자)

LG전자는 지난 2017년 인천국제공항에서 LG 클로이 가이드봇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LG 클로이 서브봇 2종(서랍형/선반형) ▲LG 클로이 바리스타봇 ▲LG 클로이 셰프봇 ▲LG 클로이 UV-C봇에 이어 ▲자율주행 기반의 차세대 물류 로봇 ▲LG 클로이 캐리봇에 이르는 LG 클로이 로봇 7종을 운영하며 다양한 공간에 최적화된 로봇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관련 기사]"역시 삼성·LG"...환경과 고객 경험 강조한 'K-디스플레이' 소개

[관련 기사]카카오가 만든 초거대 AI, 삼성 갤럭시 북에 들어간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