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인공지능(AI)기반 수의영상진단 보조서비스인 ‘엑스칼리버(X Caliber)’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5일 밝혔다.
SKT는 인공지능(AI)기반 수의영상진단 보조서비스 ‘엑스칼리버(X Caliber)’ 서비스를 시작한다. (사진=SKT)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인공지능(AI)기반 수의영상진단 보조서비스 ‘엑스칼리버(X Caliber)’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5일 밝혔다.

SKT는 25일 세종대학교 컨벤션센터네서 열린 서울수의임상컨퍼런스에서 해당 플랫폼을 공개했다. 엑스칼리버는 AI가 반려동물 엑스레이 사진을 분석해 수의사 진단을 돕는 서비스로, 병원에서 촬영한 반려견 근골격(근골격계 질환 7종)과 흉부(흉부 질환 10종) 등 엑스레이 사진을 클라우드에 올리면 AI가 30초 안에 비정상 소견 여부와 위치정보 등을 수의사에 제공한다.

AI 기반 수의영상진단 보조서비스 ‘엑스칼리버’ 개념도 (사진=SKT)
AI 기반 수의영상진단 보조서비스 ‘엑스칼리버’ 개념도 (사진=SKT)

의료진은 병원 내 별도 서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웹 서비스 방식으로 동작해 업그레이드나 관리도 쉽다. 의료진은 모바일 기기나 PC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AI가 제시하는 영상진단 판독 결과를 연동해 받아 볼 수 있다. 

SKT는 엑스칼리버 판독 결과와 국내 대형 동물병원 영상전공 수의사가 진행한 판독 결과를 비교해 봤다. 그 결과 양측 의견이 합치하는 비율이 분야별로 84~97%를 기록, 진단 보조 솔루션으로 유효성을 입증했다.

SKT는 전국 5개 국립대 수의대학(강원대, 경북대, 경상국립대, 전북대, 충남대)과 협력해 양질의 데이터셋을 개발했다. 동물 의료 데이터는 사람 의료 데이터보다 부족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데이터 증강 기술을 사용했다. 특히 임상 데이터 사진의 명암과 각도에 변화를 주는 등 다양한 환경을 고려한 데이터를 만들고 학습시켜 데이터셋과 AI 성능을 개선했다.

엑스칼리버 서비스 예시 (사진=SKT)
엑스칼리버 서비스 예시 (사진=SKT)

AI 모델링 단계에서도 레이블링 자동화 기술과 AI 모델 경량화 기술을 활용했다. SKT는 액티브 러닝(능동학습)으로 데이터 학습 프로세스를 자동화했다. 이를 통해 성능 높은 수의 진단 AI 모델과 학습용 AI 데이터셋을 개발했다. AI 모델 경량화를 통해 빠른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SKT는 딥러닝 강화로 엑스칼리버 질환탐지율(민감도)을 지속적으로 높였다. 아직 유사 서비스가 없는 유럽과 아시아 등에서 엑스칼리버의 글로벌 진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진단 영역도 넓힌다. 현재는 반려견의 근골격∙흉부∙심장크기측정 서비스로만 이용할 수 있지만, 올 하반기에 반려견 복부와 반려묘의 흉부와 복부도 추가 개발해 내년에 서비스할 계획이다. 

하민용 SK텔레콤 CDO는 “SKT가 가진 AI기술력과 5개 국립 수의대학의 고품질 데이터가 합쳐져 국내 최초로 AI기반 수의영상진단 보조시스템이 탄생하게 됐다”며 “SKT는 질병의 진단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더 나은 펫 케어 서비스 제공과 동물 복지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관련 기사]SKT-사피온, 캐나다 토론토 대학과 AI 공동 연구한다

[관련 기사]KT, 벡터 연구소와 맞손..."국가 AI 생태계 넓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