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원장 한석윤)이 개발한 열차 자율주행 핵심기술 '5G 차상통신장치'에 5G 엣지 클라우드와 5G 품질 최적화 기술을 적용, 저지연 통신 테스트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5G 차상통신장치는 열차 스스로 주행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열차 간 운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기술이다.
해당 기술에는 안정적인 저지연 통신이 필수다. 이를 위해 SKT는 저지연 통신 기능을 5G 엣지 클라우드에 구현해 네트워크 지연을 최소화했다.
SKT와 철도연은 충북 오송의 철도연 철도종합시험선로에서 열차 자율주행 통신 상황을 구현해 열차 간 저지연 데이터 송수신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결과 SKT 5G 엣지 클라우드 적용 시 일반 클라우드 대비 약 20% 지연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 오송역 부근 5G 기지국에 지연 품질 최적화 기술도 적용해 기존 대비 약 50% 지연시간을 단축했다.
김명국 SKT 클라우드 사업 담당은 "향후 열차, 차량, 선박, 로봇 등 자율주행 기술 도입에 필수적인 통신과 엣지 클라우드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국내외 파트너사들과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한석윤 철도연 원장은 "열차제어기술이 무선통신망으로 열차 간 정보를 주고받는 열차자율주행 시스템으로 이동 중이다"며 "수송력을 높이고 운행 간격을 단축하는 열차자율주행 시스템을 미래 명품 K-철도기술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관련 기사]SKT, AI 동물영상진단 보조서비스 출시
[관련 기사]SKT, 국토부 표창 수상..."UAM 혁신 인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