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최악의 경우 중국에서 생산을 중단하고 대규모 팹을 매각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6일(현지시간) 캐빈 노 SK하이닉스의 최고마케팅책임자(CMO)가 애널리스트들과의 컨퍼런스 콜에서 장쑤성 우시에 있는 중국 공장에 대한 다양한 비상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노는 "우시에서 팹 운영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 보인다면 팹을 매각하거나 장비를 한국으로 이전해야 할 수도 있다"며 "이것은 극단적인 상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가 중국에서 생산 중단 가능성을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달 초 미국 상무부는 중국에 기반을 둔 기업을 위한 첨단 반도체 및 특정 칩 제조 도구에 대한 수출 통제를 강화하는 규정을 발표했다.
외국 기업이 소유한 중국 내 웨이퍼 팹에 1년의 유예 기간이 주어지며 이 기간 동안 미국에서 장비를 계속 수입할 수 있다. SK하이닉스의 300㎜ D램 웨이퍼 제조 공장도 이에 포함된다.
삼성전자와 대만 TSMC는 중국 팹에 대해 면제를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규제는 이들 기업의 중국 사업에 대한 장기적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왜냐하면 그들이 궁극적으로 핵심 기술 및 장비의 업그레이드된 버전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상실해 경쟁력을 손상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중간 기술분쟁으로 인해 미국이 첨단 장비가 중국에 들어오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우시 공장 업그레이드 계획을 중단할 수 밖에 없었다.
애널리스트들은 SK하이닉스와 삼성과 같은 한국의 거대 반도체 기업들이 새로운 미국 규정에 따라 중국에서 운영하는 비용과 이점을 재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투자은행 나티시스의 게리 응 아시아태평양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러한 기업들은 중국 공장의 위험을 평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응은 "더 많은 기업이 이러한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중국에서 자산을 매각하거나 이전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며 "미국의 목표가 중국의 발전을 동결하는 것이므로 기존 팹을 유지할 수는 있지만 추가 확장은 점점 더 까다로워질 것이다"고 지적했다.
자산운용사 번스타인의 마크 리 선임 애널리스트는 리는 "장기적으로 삼성과 SK 하이닉스가 중국에서 생산 활동을 분리하지는 않더라도 줄이도록 유도하는 것이 미국의 목표라고 믿는다"라고 강조했다.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 폐쇄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서 중국의 위치 뿐만 아니라 미국의 제재로 인한 피해를 완화하기 위해 한국 기업을 끌어들이려는 중국의 희망에도 큰 타격을 줄 것이다.
우시 공장은 현재 장쑤성에서 가장 큰 외국인 투자 프로젝트다. SK하이닉스의 D램 칩 생산량의 약 절반과 전 세계 생산량의 약 15%를 담당하기 때문에 글로벌 전자 산업에 매우 중요하다.
한편 이번 주 발표한 SK하이닉스의 3분기 매출은 전분기 대비 20.5% 감소한 10조9800억원(77억7000만 달러)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2023년 투자를 작년보다 절반 이상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박찬 위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