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외국어 독해 교육을 도와주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 학습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반대로 외국인의 한국어 교육에도 활용할 수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외국어 독해 교육에 딥러닝 기반 대화처리 기술을 도입해 독해 교육용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ETRI 연구진이 개발한 독해 AI 기술은 교재형 독해 학습 콘텐츠를 이용한 영어 읽기·듣기를 도와준다. 교재에 담긴 내용을 묻거나 대화를 진행하며 학습자의 응답을 평가한다. 마치 가정방문 교사와 함께 공부하는 듯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대면 교육을 통해서만 가능하던 영어 독해 교육을 가정이나 외부에서 비대면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ETRI는 AI 기반의 대화형 외국어 교육 기술을 개발해 서비스한 바 있다. EBS의 'AI 펭톡'에 적용한 영어 음성인식 및 발음평가와 자유대화처리 기술이 대표 사례다. AI 펭톡은 전국 초등학교에 영어 말하기 학습 서비스로 활용되고 있다. 이 기술은 세종학당재단의 '세종학당 AI 한국어 선생님'에도 적용했다.
다양한 상황에서 AI와 대화하는 기존 외국어 교육 기술과 달리 외국어 원서를 함께 읽고 대화하며 가르치고 평가하는 것도 특징이다.
ETRI가 개발한 비원어민 음성인식 기술, 발음평가 기술, 자동번역 기술, 독해 교육 대화 기술을 적용해 지문 듣고 읽기, 지문 이해, 독해 대화 서비스를 할 수 있다.
발음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모국어 설명을 보태주기도 한다. 또 학습자에게 질문을 한뒤 답변을 평가하며 정답을 위한 힌트도 제공한다.
연구진은 읽은 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에세이를 자동평가하는 기술을 추가로 개발하고 있다. 앞으로는 읽기, 듣기, 말하기 외에 쓰기까지 돕는 서비스도 개발할 계획이다.
이윤근 ETRI 인공지능연구소장은 "독해 교육 AI 기술이 영어 원어민 교사와 국내·외 학습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기술 도입을 추진하는 폴리어학원(POLY)의 모기업 코리아폴리스쿨의 임홍일 대표는 "ETRI의 독해 교육 AI 기술을 활용해 국내뿐만 아니라 동남아 등 해외 영어교육 시장 진출에 활용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