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수 갈라랩 대표이사(왼쪽부터), 최택진 LGU+ 기업부문장, 이주완 메가존 대표이사가 제휴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U+)
김현수 갈라랩 대표이사(왼쪽부터), 최택진 LGU+ 기업부문장, 이주완 메가존 대표이사가 제휴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U+)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는 국내 모든 대학이 이용할 수 있는 '대학 특화 메타버스 플랫폼'을 개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운영대행사업자(MSP)인 '메가존', 게임 개발사인 '갈라랩'과 LGU+ 용산사옥에서 3자 제휴계약을 체결, 내년 초 플랫폼을 공식 출시하기로 했다.

대학 특화 메타버스 플랫폼은 ▲별도 앱 설치 없이 대학별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편의성 ▲수업·특강 참여, 입학·취업 상담, 도서관, 상설홍보관 등 대학이 필요로 하는 특화 기능을 갖춘 활용성 ▲입학 전부터 졸업 후 활동까지, 연중 교과·비교과 일정 전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속성 ▲인증을 거친 학생과 교직원만이 접속 가능한 보안성 등을 갖출 예정이다.

사업 총괄을 맡은 LGU+는 각 대학을 위한 전용 공간과 서비스를 기획하고, 학교와 학생들에게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기업 제휴모델을 추가 개발한다.

메타버스가 MMORPG 게임 플랫폼과 기술적으로 높은 유사성을 갖는 만큼, '프리프', '라펠즈' 등 글로벌 게임 서비스 경험이 있는 갈라랩이 플랫폼 개발을 주도한다. 특히 갈라랩은 게임 기술력을 활용해 웹 기반 메타버스를 개발, 편리한 접속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학생들이 메타버스 캠퍼스라이프에 몰입할 수 있도록 게임형 콘텐츠를 개발한다.

메가존은 플랫폼의 클라우드 인프라 구성 및 유지 보수의 역할을 수행하며, 안정적인 서비스 구현을 위해 힘쓴다. 국내 1위 게임 운영 통합서비스 사업자로서의 역량을 살려 서비스 장애 관제 및 대응, 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최택진 LGU+ 기업부문장 부사장은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젠지세대에 맞춰 교육 환경도 새로운 변화를 꾀하고 있다"며 "대학 특화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국내 대학들이 미래 디지털 선도대학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이주완 메가존 대표이사는 "이번 협약은 메가존이 보유한 국내 1위의 클라우드 및 서비스 운영 역량뿐만 아니라 인디고의 메타버스 3D UX 개발 전문성을 발휘해 성공적인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메가존 클라우드를 포함한 관계사들의 역량을 집중하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현수 갈라랩 대표이사는 "20년간 쌓은 게임사의 축적된 노하우를 통해 학교와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활용가능한 기능을 메타버스 플랫폼에 구현하고 있다. 앞으로 국내외 학생들이 플랫폼을 통해 교류하며, 대학들의 메타버스 공간과 현실이 연결되는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 같아 기대가 크다"고 밝혔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