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시장 오세훈)는 도시 최초의 공공 메타버스 플랫폼인 '메타버스 서울'의 시범 운영을 마치고 16일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날 공개한 메타버스 서울은 경제·교육·세무·행정·소통 등 5개 분야의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공간이다. 서울은 지난 2021년 기본계획을 수립, 지난해 비공개 시범운영을 한 데 이어 올해와 내년에 걸쳐 본격적인 서비스 확장에 나선다. 2025∼2026년에는 시정 전 분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은 메타버스 서울의 핵심 가치로 ▲자유 ▲동행 ▲연결 등을 내세우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창의·소통 공간', '차별 없는 초현실 공간', '현실 융합 공간'을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자유는 창의적 표현과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한 커뮤니티 공간을 의미한다. 책 읽는 서울광장은 물론 계절별 미니게임, 시민참여 공모전 등에 참여할 수 있다.
실제 공간을 실사 기반으로 재현한 메타버스 시장실에서는 시장과 인사를 나눌 수 있고 의견 제안함(상상대로 서울 연계)을 통해 시정에 대한 의견을 등록하고 답변받을 수 있다.
동행은 아바타로 신체, 나이, 환경 등 차별 없이 함께 어울리는 세상이다. '차별 없는 초현실 공간'에는 핀테크랩, 기업지원센터, 서울 10대 관광명소 체험 등이 있다.
핀테크랩은 핀테크(금융과 기술의 합성어) 기업 홍보와 교류공간으로써 82개 입주기업들의 홍보 자료를 열람하거나 기업대표를 만나 사업교류도 가능하다. 외국인과의 교류를 위한 번역 서비스도 제공한다.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하는 기업지원센터에서는 기업들이 현장에 방문하지 않고 경영, 창업, 법률, 인사 등 분야별 전문위원과 비대면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채팅, 음성, 화상 회의가 가능하다.
시민의 관광명소 선호도 조사로 선정된 서울 10대 관광명소에서는 청와대, 롯데타워, N타워 등 서울의 명소를 시간과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경험할 수 있다.
연결은 가상과 현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이 이어지는 '현실 융합 공간'으로 청소년 멘토링 가상상담실, 120민원 채팅상담, 민원서류 발급, 택스스퀘어(지방세 서비스) 등으로 구성됐다.
청소년 멘토링 가상상담실은 청소년 멘토링을 위해 꿀벌, 어린 왕자 등 6종의 테마로 구성된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로 변신해 상담하거나 자료공유 기능으로 학습 지도가 가능하다. 대면 상담에 부담을 가졌던 청소년들이 자신을 대신하는 아바타가 돼 안정된 정서로 언제 어디서든 상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20민원 채팅상담은 개인마다 음량이나 발음 등의 차이로 발생하는 음성상담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주민등록등본 등 7종의 행정 서류를 발급받아 '서울지갑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 측은 "세계 최초로 공공 메타버스 플랫폼 앱을 구축하고 있는 만큼 메타버스 서울이 가상공간에서 새로운 개념의 공공 서비스 표준 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퍼스트 무버(선구자)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또 올해 메타버스 서울 2단계 사업으로 메타버스 시민 안전 체험관, 부동산 계약, 동대문디자인프라자(DDP) 메타버스, 외국인 지원사업, 청년 정책 콘텐츠 발굴·구축 등 분야별 시정 서비스를 확대하고 시·자치구에서 개별적으로 구축하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메타버스 서울 플랫폼’에 통합해 구성할 계획이다.
메타버스 서울 앱은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애플 앱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자세한 정보는 메타버스 서울의 공식 인스타그램이나 커뮤니티 페이지, 메타버스 서울 앱 시청 로비의 공지사항을 참고하면 된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