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대표 최수연)는 스타트업 양성 조직 D2SF(D2 스타트업 팩토리)를 통해 3D 전문 스타트업 엔닷라이트(대표 박진영)에 후속 투자했다고 8일 밝혔다.
네이버는 2021년 첫 투자 후 엔닷라이트와 네이버 스마트에디터와 웹 기반 3D 디자인 스튜디오를 공동 개발하는 등 협력을 이어왔다고 설명했다. 엔닷라이트의 이번 시리즈A 투자 유치금은 80억원 규모로, IMM인베스트먼트가 리드했다.
엔닷라이트는 자체 개발한 3D 엔진을 활용해 3D 에셋을 만들 수 있는 디자인 스튜디오 '엔닷캐드'를 개발했다. 제페토 등 다양한 플랫폼과의 호환성과 사용성이 강점이다. 출시 1년이 지난 현재 기준으로 전체 이용자의 60%가 10대이며, 엔닷캐드에서 만들어진 3D 에셋은 30만건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2021년 네이버 D2SF 등으로부터 프리시리즈A 투자를 유치한 후, 네이버 사옥인 1784에 입주했다. 네이버 스마트에디터와 공동개발한 웹 기반 3D 디자인 스튜디오는 기존 엔닷캐드의 사용성을 높인 제품으로, 올 상반기에 정식 출시 예정이다. CES 2023 혁신상을 수상한 제품이기도 하다.
웹 및 데스크톱 제품 라인업을 완성한 엔닷라이트는 앞으로도 다양한 사용자에게 3D 콘텐츠 창작 환경을 제공하는 한편 클라우드 기반의 3D 콘텐츠 마켓 플레이스를 구축해 B2B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전했다. 메타버스 플랫폼, 커머스 업체, 인테리어 등에서 글로벌 기업 고객을 늘려가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우상훈 네이버 스마트 스튜디오 책임리더는 "2D에서 3D로 콘텐츠 환경이 전환되고 있고 3D 콘텐츠를 만들거나 활용하려는 이용자 및 기업들의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엔닷라이트는 뛰어난 3D 엔진 기술력을 보유했을 뿐 아니라 제품화까지 성공한 파트너로, 앞으로 밀접하게 협업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네이버는 D2SF를 통해 투자한 스타트업들과의 협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가우디오랩’과 이머시브 오디오 기술을 공동 개발해 네이버 ‘나우’ 등에 적용했고, 네이버랩스 및 네이버클라우드는 '모라이'와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공동 개발 및 사업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네이버 개발자 컨퍼런스 개최...이틀간 AI·클라우드 등 46개 세션 진행
- 네이버클라우드, IBK기업은행에 ‘뉴로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구축
- 네이버, '챗GPT'에 대항할 '서치GPT' 상반기 출시한다
- '챗GPT' 등장 이후 소규모 AI 기업에 소액 투자 몰려
- 네이버, 글로벌 AI 기업 베스트 20 들어...인도 아웃룩 선정
- 가우디오랩, '생성 AI 대표'로 국제적 음향 행사에 참가
- 네이버 D2SF, 3D 아바타 스타트업 굳갱랩스에 신규 투자
- "5~10년 뒤 영화 사운드는 대부분 가우디오랩 작품일 것"
- 네이버 D2SF, 데이터 생성·비식별화 스타트업 큐빅에 투자
- 네이버랩스 "실내외 공간 데이터 누적 8500건 다운로드"
- 엔닷라이트-홀리데이로보틱스, 휴머노이드 로봇 3D 합성 데이터 M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