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로봇산업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민간기업과 공동으로 5년간 2조원 이상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한국로봇산업진흥원과 서울 엘타워에서 첨단로봇 규제혁신 기업설명회를 열고 이런 내용이 담긴 '첨단로봇 산업전략 1.0'을 2분기 중 발표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로봇의 초격차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민관 공동으로 향후 5년간 2조원 이상을 투입하고, 로봇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해 과감하고 속도감 있는 규제혁신을 지속 추진하며, 노동력 부족과 안전 대응 분야 등을 우선으로 로봇 보급과 실증을 확대하여 로봇 시장을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또 “이러한 정책방향을 종합해 금년 2분기 내 첨단로봇 산업전략 1.0을 수립하여 발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번 설명회는 지난 2일 제3차 규제혁신전략회의에서 발표한 첨단로봇 규제혁신 방안을 로봇 분야 기업들과 공유하고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여기에는 로봇의 이동성 확장, 안전산업 진입, 협업‧보조로봇 확산, 로봇 친화적 인프라 확충 등 4대 분야에서 51개 핵심과제를 개선하기로 하고, 이 중 39개 과제를 내년까지 신속히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주영훈 실장은 “로봇은 산업 혁신, 노동시장 변화 대응, 미래 신 성장동력의 1석3조 잠재력을 가진 산업인 바, 우리나라가 글로벌 3대 로봇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설명회에는 배달‧순찰‧협동‧수중로봇 등 각 분야의 로봇개발 기업과 로봇 도입을 희망하는 수요기관 등 관계자 80여명이 참석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