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1] DATA INSIGHT 27호 표지 (사진=KISTI)
[첨부1] DATA INSIGHT 27호 표지 (사진=KISTI)

세계 각국의 인공지능(AI) 윤리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자체와 '기계학습' 및 '딥러닝' 기술을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윤리 주제로는 '공정성'을 중심으로 매우 다양하게 다루고 있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원장 김재수)은 13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AI) 윤리 이슈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을 발간했다.

국내외 AI 윤리 정책 동향을 소개하고 글로벌 차원에서 AI 윤리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클래리베이터 웹오브사이언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2000~2022년 AI 윤리 논문 4199편을 분석한 결과다.

AI 윤리 관련 논문은 2017년 121편에서 2018년 224편, 2021년 1040편으로 급격이 늘어나는 추세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1357건으로 가장 많았고, 영국(598건)과 중국(562건)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우리나라는 116건으로 13위를 기록, 아직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KISTI는 국가별 AI 윤리 이슈를 심층 분석하기 위해 42개의 윤리 키워드와 16개 AI 핵심기술 키워드를 선정해 국가별 점유율을 분석했다. 국가별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공정성' 관련 논문이 19.8%로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국가가 AI 윤리 연구에서 '인공지능' '기계학습' '딥러닝' 기술을 공통으로 다루고 있었다. 우리나라는 '강화학습'과 '합성곱신경망'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이탈리아와 벨기에가 '빅데이터', 싱가포르가 '데이터모델', 핀란드와 중국이 '강화학습'에 중점을 뒀다.

핵심 윤리주제는 세부기술별로 상이했다. 전문가시스템에서는 개인화(15.4%)와 신뢰성(19.2%)을 주로 연구했고, 데이터모델에서는 공정성(26.5%), 프라이버시(20.6%), 개인화(14.7%), 인간중심상호작용(11.8%)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소대섭 글로벌R&D분석센터 책임연구원은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 기술이 일상화되면서 나타날 수 있는 법률적ㆍ윤리적 쟁점에 대한 연구가 국내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라며 "가까운 미래의 사회적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부나 학계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AI타임스 조예주 기자 joyejuoffice@gmail.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