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메타버스 서비스인 ‘이프랜드’에 이용자 개인이 직접 공간을 꾸미고 일상 기록을 남길 수 있는 개인공간 서비스 ‘이프홈(if home)’을 도입했다고 3일 밝혔다.
이프홈은 SKT가 메타버스에서 소셜 네트워크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선보이는 개인화된 3D 공간 서비스다. SKT는 ‘이프홈’을 통해 사용자가 관심사와 일상을 남기고, 친구와 소통하는 메타버스 경험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프홈은 숲이나 우주 등 지형 4곳과 한옥, 모던스타일 등 건축물 6개를 조합, 24개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내부는 벽지, 바닥, 가구, 가전 등과 400여가지 아이템으로 꾸밀 수 있다.
관심사와 경험, 활동을 글과 사진, 동영상 형태로 남기는 게시 기능을 제공한다. 작성 게시물은 방문객이 감상할 수 있으며, ‘좋아요’ 버튼을 누르거나 댓글을 다는 등의 방식으로 상호 소통할 수 있다.
친구와 혹은 혼자서 메타버스 세상을 즐길 수 있도록 플레이 아이템도 제공한다. 노래방 아이템으로 노래를 부르고 친구와 스코어를 비교할 수 있다. 기업과 셀럽을 위한 이프홈도 선보인다.
여러대의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해 물체를 3D로 촬영하는 '볼류메트릭' 기술을 적용, 3D 셀럽을 가까이에서 만나볼 수 있다. 최초로 등장하는 셀럽은 e스포츠 전문 기업 T1의 페이커 이상혁이며, 향후 셀럽을 추가할 예정이다.
SKT는 연내 지형과 건축물을 20개까지 늘리고, 꾸미기 아이템도 2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꾸미기 기능 자유도를 높이고, 플레이 아이템도 추가할 예정이다.
경제 시스템도 연내 도입한다. 3D 콘텐츠(공간 꾸미기, 특수효과 등)나 기능형(노래방 이용권, 강연 입장권 등) 아이템은 물론 모임을 진행하는 호스트 후원이나 소장 가치가 있는 희귀 NFT 아이템을 구매하는 데도 경제 시스템 적용을 검토 중이다.
특히 기존 이프랜드와 달리 이프홈은 국내와 글로벌 버전 구분 없이 운영, 타 국가 이용자도 방문할 수 있다. 해외 사용자를 위해 기존의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간체/번체)에 독일어를 추가했다.
SKT는 많은 인원이 모이는 소통장소가 필요한 이프랜드 이용자들을 위해 기존의 '랜드'를 ‘이프스퀘어(if square)’로 이름을 바꿔 제공한다. 이에 따라 최대 131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에서 강연이나 이벤트를 열 수 있다.
이 밖에 메타버스에서 팬이나 고객과 소통하길 원하는 기업이나 셀럽 등을 위한 ‘스페셜 이프홈’도 공개할 예정이다. 그 예로 5월 중 T1의 이프홈이 문을 열고, 메타버스 팬미팅 프로그램인 ‘K-팝 쇼’의 이프홈도 개설한다. 또 기업 브랜드를 위한 이프홈으로 세븐일레븐 등이 메타버스 매장을 문을 연다.
이프홈과 이프스퀘어 등은 이프랜드 앱을 업데이트하면 이용할 수 있다.
양맹석 SKT 메타버스CO 담당은 "이프홈 도입으로 나만의 공간을 꾸미고, 공유하고, 소통하는 등 새로운 SNS가 가능한 '마이 이프랜드'로 진화했다”라며 "앞으로 이프홈 기능과 콘텐츠를 고도화하는 동시에 경제 시스템을 본격 도입하는 등 서비스를 더욱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 SKT, 페르소나스페이스와 이프랜드에 ‘미스터트롯2’ 전용 공간 만든다
- SKT, 메타버스 '이프랜드' 해외 진출 위해 글로벌 통신사와 잇달아 협약
- SKT, '이프랜드' 49개국 동시 출시
- “미성년자 데이터로 돈벌지 말라”...美 정부, 메타에 제동
- “아리아, 살려줘”...SKT, AI 돌봄 긴급 구조 500건 돌파
- SKT, 메타버스에 실사 기반 국내외 명소 오픈
- SKT-에쓰푸드, AI 기반 푸드테크 협력
- SKT-경기북부경찰청, AI로 범죄피해자 돕는다
- 데이터킹, '챗GPT'가 안내하는 메타버스 3D갤러리 오픈
- SK플래닛, NFT 멤버십ㆍ탈중앙화 지갑 론칭
- SKT 이프홈, 출시 100일만에 개설 50만 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