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 유영상)이 대형 언어 모델(LLM) '에이닷'을 업그레이드한다. 매개변수를 기존 두 배 이상 늘이는 것은 물론 챗GPT 훈련에 사용했던 '인간 피드백 기반 강화학습(RLHF)'을 통해 정확도를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SKT는 10일 열린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인공지능(AI) 자체 기술을 고도화하는 한편 외부 파트너와의 협력을 병행하는 '투 트랙' 전략을 준비 중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영준 에이닷 테크 담당은 Q&A를 통해 "최근 생성 AI 모델은 과거 1년 치 혁신이 일주일 만에 이루어질 만큼 발전 속도가 빠르다"며 "이를 따라잡기 위해 자체 기술을 진화시키는 한편 생성 AI 기술을 선도하는 외부 파트너와 적극적 협력도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선 자체 모델인 에이닷 업그레이드 계획을 공개했다. 기존 LLM 매개변수 180억개를 상반기 중 390억개로 늘인다고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매개변수가 늘어나면 성능 또한 높아진다. 이와 관련, 오픈AI나 구글의 LLM은 5400억개 이상의 매개변수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또 SKT는 AI 모델 진화를 위해 RLHF를 사용한다고 밝혔다. 이는 GPT-3.5에 사용했던 핵심 기술로, 챗GPT가 다른 모델에 비해 자연스러운 대화를 나눌 수 있게 한 것은 물론 데이터를 축적할수록 정확도를 높이는 결과를 만들어 낸다.
더불어 SKT는 LLM 간 연결을 원활하게 하는 '통합 랭커'도 구축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 담당은 ""사용자의 요청을 정확하게 연결해 줄뿐 아니라 향후 다양하게 등장할 LLM을 서로 연결해주는 기술"이라며 "결국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정확한 답을 찾아내고 자연스러운 대화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 빅테크는 물론 국내 선도 기업과 생성 AI 도입을 위해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대표적인 예로 지난달 150억원을 투자한 스캐터랩을 들었다. SKT는 에이전트 '이루다'로 유명한 스캐터랩의 기술을 도입, 6월 중 '감성대화형’ AI 에이전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이날에는 AI 서비스 에이닷의 대규모 업데이트 예정도 공개했다.
손인혁 에이닷 개발 담당은 "에이닷 홈 화면과 UX 개편, 14세 미만 가입 허용과 소셜 아이디 지원 등 진입 장벽 최소화를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또 지난 2월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를 통해 글로벌 통신회사(텔코) 간 네트워크를 구축, 텔코만이 할 수 있는 AI 기반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하반기 중 출시할 'AI 통화내용 브리핑' 및 '전화 대신 받기' 등이 포함됐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