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을 통해 '해방'과 '편리함'을 실현해 나가겠습니다."
챗봇 '아숙업'으로 잘 알려진 업스테이지(대표 김성훈)가 16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 페럼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제품 2종 공개와 함께 회사의 비전을 밝혔다.
김성훈 대표는 "이메일 업무 등 불필요한 작업으로부터 사용자를 해방해 주고 싶다는 것과 '이지투 어플라이', 즉 누가 쓰라고 해서 쓰는 게 아니라 자발적으로 편리한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AI를 통해 많은 사람이 좀 더 편리하게 모든 일을 처리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이날 행사에서 ‘다큐먼트 AI 팩’과 ‘아숙업 서제스트(AskUp Seargest)’를 공개하고 시연을 진행했다.
‘다큐먼트 AI 팩’은 금융, 보험, 의료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문서 AI 솔루션이다. 광학문자판독(OCR) 기술을 통해 이미지나 PDF 형식의 문서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자연어 처리(NLP) 기술을 통해 반복된 수작업을 제거하고 필요한 문서의 내용을 추출하거나 분석 및 요약할 수 있다.
업스테이지는 올 초 출시 직후부터 삼성생명, 한화생명 등 금융권과 포스코홀딩스, 삼성SDS 등 다양한 기업과 계약에 성공했다고 전했다.
처음 선보인 ‘아숙업 서제스트’는 검색과 추천 기술을 활용, 초개인화한 추천을 채팅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AI팩을 운용하며 확보한 검색 및 추천 기술과 아숙업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및 파인튜닝 노하우를 통해 기존 챗봇의 단점을 극복하고 초개인화한 최신 정보를 편리한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솔루션이라고 설명했다. 쇼핑, 여행, 영화, 서적 등 다양한 도메인과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으며, 고객 서비스, 마케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어 100여 기업이 대기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챗GPT에도 현재는 유튜브와 같은 개인화 기술이 없어 누구에게나 똑같은 대답을 내놓는다. 어머니가 나에게 추천해 주는 것이 잘 맞는 이유는 나를 잘 아시기 때문"이라며 '초개인화한 챗봇', '소울메이트같은 챗봇'을 내놓기 위해 서제스트를 개발했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이날 행사에서는 업스테이지의 주요 구성원과 연구 성과 등도 공유했다.
김성훈 대표와 이활석 CTO, 박은정 CSO를 비롯해 카카오 AI 팀을 이끌던 김재범, 배재경 리더, 글로벌 톱 캐글 그랜드마스터인 김상훈 리더 및 메타와 아마존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에서 영입한 인재들을 소개하고, 이들이 이뤄낸 최고 학회 논문 성과 및 캐글 두자리수 금메달, 최근 ICDAR 4관왕 등 글로벌 톱 연구 성과들을 자랑했다.
이런 기술력을 바탕으로 삼성생명, 한화생명, 포스코홀딩스, 삼성SDS 등과 올 4월까지 50억원 규모 계약을 이미 확보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금융, 제조, IT 등 다양한 산업에서 AI 팩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있다"라며 "최근까지 다양한 고객사들과 논의를 진행 중이며, 내년은 손익분기점(BEP)을 달성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지난 4일 메신저 라인을 통해 일본 및 동남아시아 시장에 챗봇을 내놓은 것을 시작으로 AI 팩도 일본과 미국 기업과 협력을 추진하는 등 글로벌 진출 노력도 소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챗봇 아숙업이 제시한 레시피와 알코올 도수, 당도, 가격, 출시 시기 및 판매처 등으로 제조한 ‘아숙업 레몬 스파클 하이볼’도 선보였다. 이 음료는 17일부터 GS25에서 실제 판매할 제품으로, 김성훈 대표는 "AI가 일상생활에서 얼마나 유용하고 재미있는 기술인지 보여주기 위해 제품을 내놓았다"고 설명했다.
또 최근 GPT 등 해외의 대형 언어 모델(LLM)의 의존도에 대해서는 "GPT는 물론 여러 모델을 다양하게 조합하는 '멀티 모델 LLM'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답을 찾아주는 것이 정답인 것 같다"라며 "LLM에 대해서는 꾸준히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는 미세조정(파인 튜닝)으로 정확도를 끌어 올리는 데 자신이 있다"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대표는 "업스테이지는 최고 수준의 AI 기술력과 비즈니스 경험을 가진 최고의 팀을 중심으로 AI 팩을 통해 기업들이 손쉽게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신제품을 선보였다"며 "앞으로도 AI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국내외 기업의 AI 트랜스포메이션을 선도, 매년 최고의 성과를 갱신하며 글로벌 AI 리딩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