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네이버클라우드) 
(사진=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대표 김유원)가 올해 상반기에 최고 권위 글로벌 AI 학회들에서 61개의 논문이 채택되는 성과를 거뒀다고 13일 밝혔다. 

한 해 동안 100건의 논문을 발표한 지난해만큼 빠른 속도로, 네이버클라우드를 중심으로 통합된 클로바, 파파고 등 네이버 AI 조직의 기술 시너지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초거대 AI 분야에서 기술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초거대 AI 분야 주요 연구들이 ‘베스트 페이퍼’나 ‘상위 25% 연구’에 선정됐으며, 지난 2021년 하이퍼클로바의 연구 논문을 자연어처리 학회 EMNLP 2021에서 발표한 이후 20개의 관련 연구 논문이 글로벌 학회에 게재 승인됐다.

올해 상반기에는 초거대 AI 기술 생태계 발전부터 서비스 적용,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연구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연구를 발표했다. 먼저 이미지 생성 모델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 지표를 제안한 연구는 머신러닝 분야 세계 1위 학회인 ICLR 2023에서 논문 리뷰 점수 기준 ‘상위 25% 연구’에 올랐다. 이를 통해 초거대 AI가 생성한 이미지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측정하는 지표를 소개했다.

사업적으로 중요해진 AI 경량화 연구도 글로벌 머신러닝 학회(ICML 2023)에 채택됐다. 초거대 언어모델의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양자화 기법을 제안, 하이퍼클로바X 운용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자체 개발한 AI 경량화 기술로 이미 하이퍼클로바, 클로바노트 등을 최적화하고 있다.

나아가 지난해 컴퓨터 공학 공정성 분야 대표 학회에서 초거대 AI 윤리를 주제로 워크샵을 개최한 데 이어 올해에는 관련 분야의 새로운 연구 결과로 주목받았다. 초거대 AI의 편향 발언을 완화할 수 있는 학습 데이터셋과 이를 구축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제안한 연구가 글로벌 자연어처리 학회 ACL 2023에 채택된 것. 이 연구는 AI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법학 등 전문가들이 ‘AI 윤리 포럼’을 1년 동안 운영하며 연구한 결과다.

이외에도 독거노인을 위한 네이버의 AI 안부전화 서비스 ‘클로바 케어콜’을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 가능성 인터뷰 연구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 최상위 학회(CHI 2023)에서 ‘베스트 페이퍼’까지 수상했다.

윤상두 네이버클라우드 AI 랩 소장은 “올해 상반기에도 머신러닝, 자연어처리, 음성, 컴퓨터비전 등 다양한 AI 학회에서 의미 있는 연구들을 발표했으며,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초거대 AI 분야에서의 성과가 돋보였다”며 “서울대, KAIST, 뉴욕대 등 글로벌 유수 연구기관과 하이퍼클로바X를 비롯한 초거대 AI 기술 고도화를 위한 협력을 지속하고, 튀빙겐대, 워싱턴대와의 연구 협력을 통해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초거대 AI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