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기업이 전문 인력이 없어도 앱과 서비스의 중단없이 손쉽게 기능을 추가, 확장할 수 있는 ‘TKS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TKS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라우드 인프라 구성부터 플랫폼 설치 및 운영, 앱 개발, 배포 및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설치 등의 복잡하고 어려운 전 과정을 신청 화면에서 클릭 몇 번으로 쉽게 처리할 수 있다고 전했다.
타사 유사 솔루션 대비 저렴한 투자 비용과 ‘개발 및 서비스화 기간 단축, 신속한 앱 개발 및 배포 체계 구축 가능 등을 강점으로 꼽았다.
주요 기능으로는 우선 클라우드 인프라, 플랫폼 및 배포 소프트웨어를 다양한 조합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기업고객은 출시속도, 비용절감 등 상황에 가장 적합한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인터넷은행은 서비스 업데이트가 쉬운 플랫폼(컨테이너 방식)과 아키텍쳐(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앱을 개발하고 서비스를 구성, 운영할 수 있다.
실제 SK브로드밴드는 2019년 SKT의 컨테이너 플랫폼을 도입해 비용을 기존 대비 50% 정도 절감했고, 서비스 업데이트를 업무시간에도 수 차례 할 수 있었다고 밝혔. 또 이번에 출시한 TKS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 빠르게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아마존 AWS뿐만 아니라 MS 애저 등과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 기업 자체 클라우드나 데이터센터에도 적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확장 기능도 제공한다.
이번 출시 버전에서는 우선 아마존 AWS 전용 서비스만 제공하며, AWS가 아닌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로 요청시 서비스 업그레이드를 통해 멀티 클라우드도 지원할 예정이다.
서비스를 구성하는 기반 기술까지 모두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공개하고 있다. 기업은 TKS클라우드서비스를 사용하면서 특정 회사의 솔루션이나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오픈소스 기술기반으로 손쉽게 역량을 쌓아 갈 수 있으며, 필요시 내재화로 손쉽게 전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SKT는 기업이 필요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교육과 컨설팅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에 출시한 TKS클라우드 서비스를 스타트업과 같은 중소기업에 우선 제공할 계획이다. 또 스타트업이 쉽게 서비스를 개발하고 출시할 수 있도록 TKS 클라우드 서비스를 한시적으로 무료 사용할 수 있는 프로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SKT의 기술 커뮤니티 데보션은 3일부터 이틀간 코엑스에서 열리는 오픈소스 인프라와 클라우드 기술 컨퍼런스에 공동 후원사로 참여한다. 데보션은 SKT가 SK그룹의 전문가들과 외부 개발자들 간의 기술 공유와 소통을 위해 만든 기술 커뮤니티다. 현장에서 현업 전문가들과 함께하는 1대 1 대화, 기술 설명회 등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동기 SKT 클라우드테크담당은 "TKS 클라우드 서비스 출시를 통해 기업들의 앱 현대화 전환을 지원하고, 특히 스타트업과 중소기업들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동반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SKT는 다양한 기업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멀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로의 확장 및 시장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지속 추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