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의 라이다 기반 군중분석 솔루션 실증 장면 (사진= 뷰런테크놀로지)
서울 종로구의 라이다 기반 군중분석 솔루션 실증 장면 (사진= 뷰런테크놀로지)

라이다 전문 뷰런테크놀로지(대표 김재광)는 서울시 종로구청과 함께 ‘스마트 크라우드 애널리틱스(SCA)’를 통해 종로구 익선동 테스트 베드에서의 현장 인파분석 검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4일 밝혔다.

SCA는 뷰런이 개발한 라이다 기반 군중분석 솔루션이다. 종로구는 이를 관리 솔루션으로 선정, 행정안전부의 ‘현장인파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이번 실증은 SCA와 라이다 센서 단 2대만을 활용해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SCA의 경우 1㎡ 내에서 6명 이상의 객체를 검출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현존하는 솔루션 중 가장 높은 객체 검출 정확도라고 설명했다.

뷰런은 일일 통행량 1만2000명이 넘는 익선동의 먹자골목 거리에서 1개월에 걸친 현장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혼잡도 레벨에 따른 알람 발송 및 야간 객체 검출 등의 고도화된 성능을 성공적으로 검증했다고 전했다. 또 송파구, 서대문구, 강동구 등 다른 지자체에서도 인파분석 시스템 구축을 위한 추가 논의를 진행 중이다.

라이다 기반 군중분석 솔루션 현장 설치 장면 (사진=뷰런테크놀로지)
라이다 기반 군중분석 솔루션 현장 설치 장면 (사진=뷰런테크놀로지)

김재광 뷰런 대표는 "라이다 활용 인파관리 시스템은 익선동 평균 보행자 수를 산출하였을 때 운영비와 유지보수비를 포함한 1인당 서비스 금액이 단 3-4원 정도"라며 "특별재난 발생시 인당 최소 2000만원에서 최대 4억원의 피해 금액이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면, 사건 사고를 예방하여 국민의 안전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이 비용적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또 "저비용 고효율이 가능한 이유는 SCA의 압도적으로 높은 객체 검출률 때문"이라며 "우수한 검출률 덕에 비단 도심 내 혼잡도뿐만 아니라 국내 박물관, 미술관, 쇼핑몰 등 인파가 몰리는 장소에서 방문객 추적 용도로 해당 솔루션 활용을 논의 중이다. 더불어 현재 국내·외 공항에서도 대기열향으로 다수의 실증 사업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뷰런은 SCA를 시작으로 국내외에서 다양한 객체 검출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함과 동시에 이를 발전시켜 본격적인 스마트시티 솔루션 확장에 기여함으로써 도시 내 안전과 편의성 향상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2019년에 창업한 뷰런은 창업 초기 네이버 D2SF와 본엔젤스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한 후 KDB산업은행 등에서 100억원 규모의 프리A 투자 유치에 성공한 바 있다.

국내뿐 아니라 미국 실리콘 밸리와 독일 뮌헨에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사업을 전개 중이다. 자체개발 인지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기존 기술과 차별화된 자율주행 라이다 솔루션 '뷰원(VueOne)'과 지능형 교통체계(ITS) 및 스마트 인프라 라이다 솔루션인 '뷰투(VueTwo)' 등을 공급하고 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