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신 마비 환자가 ‘BCI' 기술이 적용된 장치로 재활 훈련을 하는 모습 (사진=스위스EPFL)
하반신 마비 환자가 ‘BCI' 기술이 적용된 장치로 재활 훈련을 하는 모습 (사진=스위스EPFL)

유엔 교육과학문화 기구(UNESCO)가 인간의 뇌를 컴퓨터와 연결하는 신경과학기술에 대해 인권 침해의 위험성이 있는데 따라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2일(현지시간) 유네스코가 보고서에서 인공지능(AI)을 도입하기 시작한 신경과학기술에 대해 윤리적 기준과 규제의 프레임워크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했다고 보도했다.

유네스코가 지목한 신경과학기술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이다. 스위스 로잔 공과대학(EPFL) 연구진이 최근 이 기술을 적용한 장비로 하반신 마비 환자가 걸을 수 있게 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 프리시전 뉴로사이언스나 뉴럴링크는 BCI 기술을 적용한 뇌 임플란트를 개발하고 있다. 뇌 손상으로 움직일 수 없는 환자가 생각만으로 컴퓨터나 다른 장치를 움직이는 실험을 진행 중이다. 

BCI는 뇌파 측정을 위한 전처리 및 정보 추출과 분류 기술로 나눌 수 있다. 추출 방식에 따라 침습식과 비침습식으로 나뉜다. 침습식 BCI는 두피를 뚫고 직접 뇌 안에 장치를 삽임해 뇌파 신호를 측정하고, 비침습식 BCI는 외부에서 간접적으로 신호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와 관련해 라파엘 유스테 콜롬비아 대학 신경기술센터 소장은 "지난 1년간 발표된 4건의 연구에서 연구자들이 비침습적 장치를 이용해 인간 지원자의 뇌에서 음성과 이미지를 해독했다”고 전했다. 

프리시전 뉴로사이언스의 외 임플란트 장치 (사진=프리시전 뉴로사이언스)
프리시전 뉴로사이언스의 외 임플란트 장치 (사진=프리시전 뉴로사이언스)

그는 모든 연구에서 고급 AI 모델을 통합해 뇌 데이터를 해독했다며 “새로운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매우 민감한 정보를 해독할 수 있기 때문에 사생활 보호가 더욱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미국과 캐나다의 신경 과학기술 기업이 대부분 소비자 사용계약에서 고객의 신경 데이터에 대해 완전한 소유권을 갖도록 조치하기 때문에 규제가 더욱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의 정신 재산을 보호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기업이 뇌 데이터를 저장하기 시작할 것이며, AI가 이를 언젠가는 해독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가브리엘라 라모스 유네스코 사회 및 인문과학 부국장도 이 기술에 대해 “인간의 정체성과 자율성, 프라이버시, 정서, 행동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남용될 경우 인권과 기본적 자유 측면에서 막대한 대가를 치를 수 있다”고 말했다.

유네스코는 BCI와 관련한 보고서를 13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과학 및 정치 지도자 회의에 제출할 예정이다. 수석 저자인 마리아그라치아 스퀴치아리니는 보고서에서 “신경과학기술에 AI를 도입하는 것은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것과 같다”고 논평했다.

그는 “신경과학 기술을 반대하거나 연구 중단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며 “의학이나 소비자 측면에서 이 기술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며 이와 관련해 전 세계적으로 합의된 접근 방식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정병일 기자 jbi@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