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우리 정부가 주도한 인공지능(AI) 관련 인권 결의안이 유엔에서 채택됐다.

외교부(장관 박진)는 제53차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우리 주도로 상정한 '신기술과 인권(New and emerging digital technologies and human rights) 결의가 컨센서스(합의)로 채택됐다고 14일 밝혔다. 영국, 프랑스, 독일, 칠레 등 인권이사회 주요 이사국을 포함해 호주, 캐나다, 스페인, 네덜란드, 태국 등 50여개국이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하는 등 국제 사회의 광범위한 지지를 확보했다는 설명이다.

'신기술과 인권' 결의는 우리 주도로 2019년 제41차 인권이사회에서 최초 채택된 결의로서, 이번이 세번째 결의다. 이번에는 신기술과 인권 관련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신기술의 혜택을 모두가 향유할 수 있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디지털 문해력을 증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이번 결의는 최근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AI 문제를 다루고 있다. AI의 인권적 함의를 다룬 인권이사회 차원의 최초 결의로, AI가 인권에 미치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종합적이고 균형 있게 다뤘다.

AI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나아가 투명성, 비차별, 인권 영향평가 등 AI 분야에서 인권 보호를 위한 일련의 원칙들에 대한 인권이사회의 공통된 인식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전했다.

외교부는 "최근 AI 등 디지털 기술의 인권적 함의에 대한 국제적 관심과 중요성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신기술과 인권' 결의는 AI 분야에서 인권을 증진하기 위한 국제 논의의 방향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또 "이번 결의는 회원국은 물론 유엔기구, 시민단체, 기술계 및 학계 등 국제사회의 많은 관심 속에 채택됐다"며 "이번 결의를 통해 AI 등 신기술 분야에 대한 국제 논의를 주도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