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KT) 
(사진=SKT)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최근 인공지능(AI) 기반  교통신호 최적화 솔루션 '티플로(T.Flow)'을 개발, 성시 내 상습 정체구간에 적용해 차량 통행시간 단축과 탄소배출량절감효과를 거뒀다고 26일 밝혔다.

티플로는 위치기반 이동통신 데이터 분석 플랫폼  '리트머스'에서 추출된 교통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교차로 방향별 교통량 정보를 이용, AI로 교통신호를 분석하고 최적의 신호체계를 제공한다.

SKT는 경기도 화성시, 화성동탄경찰서, 화성서부경찰서, 도로교통공단 등과 협력해 지난 3월부터 3개월간 상습 정체구간인 교차로 15곳 구간에 신호체계 개선안을 만들어 교통개선 효과를 시험했으며, 실제 차량 통행시간이 13% 단축되는 효과를 거뒀다고 전했다.

실제 적용도로는 화성시 삼천병마로 자안입구 삼거리에서 해광금속 사거리까지 약 5.4km 구간으로 일 평균 교통량 53,000대가 넘는 상습 정체지역이다. SKT는 AI 기술을 활용, 시간대별 교통량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의 교통신호 주기를 산출했다. 산출한 교통신호 주기 적용 전후 통행시간을 비교한 결과, 적용 전 11분30초에서 적용 후 9분50초로 약 1분40초(13%)를 단축했다.

이는 연간 12억원의 경제적 편익과 52톤의 탄소배출량을 절감하는 효과로, 향후 화성시 전역에 확대 적용할 경우 연간 약 520억원의 경제적 편익과 약 2200t의 탄소배출량 절감 효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교통신호 최적화를 위해서는 기초 데이터인 방향별 교통량을 수집하는 것이 중요한데, 티플로는 교통량 수집을 위한 별도 장치와 조사인력이 필요 없고, 장소와 시간, 악천후 등 환경 요인과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측정이 가능해 데이터 수집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크게 향상했다고 덧붙였다.

SKT는 도시 전역 교통흐름을 모니터링하고 교통신호를 최적화하는 기술을 지속 업그레이드, 국토교통부가 2020년부터 추진 중인 스마트 신호운영 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다.

스마트 신호운영 사업은 교통량에 따라 실시간으로 신호를 제어해 차량흐름을 원활히 하고, 소방차 등 긴급차량 통행시 우선신호를 부여하는 등의 스마트 교통신호 운영체계를 도입하는 사업이다.

신용식 SKT 커넥티비티 CO장은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2018년 전국 교통혼잡비용이 약 68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앞선 ICT 기술을 적극 활용해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도시 교통문제 해결에 앞장서 국내 1위 이동통신사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