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인공지능(AI)을 바탕으로 한 '하이브리드' 서비스로 올해 클라우드 부분 매출 2000억원에 도전한다. 나아가 2027년까지 국내 톱 3 수준의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제공회사(MSP)로 거듭나겠다고 전했다.
SKT(대표 유영상)는 25일 이같은 계획을 공개하고 본격적으로 클라우드 사업 확대에 나설 뜻을 밝혔다.
무엇보다 해외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나 구글, 아마존(AWS) 등이 강력한 생성 인공지능(AI)을 앞세워 클라우드 서비스 비중을 높이는 것을 참고했다. 미국에서는 올초부터 대형언어모델(LLM)을 앞세운 빅테크의 클라우드 전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SKT는 "생성 AI가 클라우드 성장 모멘텀을 촉발했다"며 "특히 AI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역량을 갖춘 MSP 사업자에게 새로운 성장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전했다.
기업이 AI를 활용하는 방식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CSP)의 AI 모델과 자사 서비스를 연동하는 방식이나 ▲프라이빗 인프라를 구축해 자체 GPU 인프라와 자사 데이터를 결합해 최적화된 자체 모델을 개발하는 방식으로 분류된다. 특히 프라이빗 인프라는 저비용 고효율의 강점이 있기 때문에, AI와 하이브리드 기술 역량을 갖춘 MSP 사업자의 역할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는 내용이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란 공중의 인터넷망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서비스하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특정 기업이나 개인이 자신들만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축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합친 형태다. 즉 기업 내 모든 인프라를 퍼블릭 클라우드에만 의존하지 않고 사내 IT 환경과 번갈아 가며 필요한 서비스만 이용하고 공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LLM의 경우 MS나 구글의 파운데이션 모델을 그냥 가져다 쓰는 경우 필요한 컴퓨팅 파워와 비용이 크게 늘어나기 때문에, 최근 기업들은 자신의 목적에 맞게 소규모 LLM(sLLM)을 구축하거나 사내에 따로 전용 모델을 구축하는 온프레미스 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다.
따라서 SKT 역시 필요에 따라 큰 모델이 필요할 경우 퍼블릭 클라우드를 통한 서비스를, 작은 모델이 필요할 경우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다.
실제 SKT는 대형언어모델(LLM) 에이닷은 물론 비전 AI, 데이터 AI 등 다양한 AI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AI 모델 구축 노하우도 갖추고 있다. 이를 클라우드와 통합하는 '차세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도다.
더불어 통신 기업의 전문성을 살려 엣지 클라우드 기반의 특화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도 전했다.
SKT는 "5G를 결합해 작업장의 근거리에서 최적의 컴퓨팅을 구현해주는 것이 클라우드의 미래라고 보고 있다"며, 유무선 네트워크, MEC(모바일 엣지 컴퓨팅), 사설 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 솔루션을 통합 패키지로 제공할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제조업 공장 내 네트워크를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형태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임직원이 별도 단말기, 카메라, 태블릿 등을 사용해야 했지만, 이를 통해 임직원은 기존 스마트폰을 통해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AI나 VR 같은 기존에 도입할 수 없었던 서비스를 완벽한 보안 환경에서 빠르게 활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이런 역량을 통해 기업의 클라우드 및 AI 도입 부담을 덜어주는 것은 물론 따로 비용 절감 컨설팅까지 지원하겠고 밝혔다.
또 클라우드 서버 운영비를 최대 40% 줄이고, 앱성능 최적화로 클라우드 사용량을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솔루션 2종도 공개하고 2분기내 출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SKT는 "3년이라는 최단 기간에 기술 역량과 사업 규모를 글로벌 톱 CSP인 아마존에 인정, 2023년 아마존 파트너 어워즈에서 '올해의 떠오르는 파트너'로 선정됐다"며 "지난해 1000억원을 기록한 클라우드 매출을 올해에는 2000억원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