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인공지능(AI) 기반 반려동물 엑스레이 분석 솔루션 '엑스칼리버(X Caliber)'의 진단 범위를 반려견의 복부 질환 진단까지 확대하고, 요금제도 사용량에 따라 다양화한다고 20일 밝혔다.
엑스칼리버는 AI가 반려동물의 X-레이 사진을 분석해 진단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수의사의 진료를 돕는 동물 의료 AI 서비스다. 병원에서 촬영한 반려견 X-레이 사진을 엑스칼리버 전용 클라우드에 올리면 질환의 위치와 비정상 소견 등 분석 결과를 15초 내에 제공한다.
SKT는 기존 진단 범위였던 반려견의 근골격(근골격계 질환 7종), 흉부(흉부 질환 10종), 심장 크기 측정(심비대 진단)에 더해 복부(복부 질환 16종)까지 추가하며 진단 범위를 확대했다. 복부 질환은 반려견이 가장 흔하게 걸리는 질병 중 하나로, 이번 진단 추가로 반려견의 주요 질환을 대부분 탐지할 수 있게 돼 엑스칼리버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엑스칼리버의 X-레이 판독 결과를 국내 대형 동물병원 수의사(영상 전공)의 판독 결과와 비교해 본 결과에 따르면 기존 근골격 질환은 86%, 흉부 질환은 88% 수준까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에 추가된 복부 질환의 경우 94%가 일치하는 등 질환 탐지에 있어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보였다.
또 SKT는 동물병원이 엑스칼리버 사용량에 맞춰 최적화된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존 월 33만원의 프리미엄 요금제(무제한)에 더해 베이직, 스탠다드 요금제 2종을 추가로 출시했다.
베이직 요금제는 월 9만9000원에 20건, 스탠다드는 월 15만원에 40건의 X-레이 판독이 가능하다. 특히 사용량이 적은 소형 동물병원에서도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종량제(월 9900원, 1건)도 내년 3월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한다.
엑스칼리버는 질환을 탐지하는 정확도가 높고, 기존 X-레이 장비 교체없이 웹 기반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사용 편의성으로 인해 현재 전국 210여개 동물병원이 사용 중이다. SKT는 현재 국내 5개 수의대학 및 국내 5개 동물병원과 연구 협력을 통해 임상 진료에서 질환 탐지의 정확도를 지속적으로 향상하고 있다.
SKT는 AI 컴퍼니로 도약하기 위해 AI 생태계를 확장하고, 모든 고객이 AI를 누릴 수 있도록 고객의 일상 속 AI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 양육 가구수가 600만 가구를 넘어서는 등 크게 증가하자 AI 기술이 반려동물의 진료에도 쓰일 수 있도록 지난해 9월 엑스칼리버를 출시했다. SKT는 진단 범위를 기존 반려견에서 연말에는 반려묘까지 확대하는 등 엑스칼리버 성능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하민용 SKT 최고사업개발책임자(CDO)는 “복부 진단을 추가하고 요금제도 다양해지면서 일선 동물병원에서 엑스칼리버를 좀 더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SKT는 엑스칼리버의 진단 범위와 AI 기술 수준을 업그레이드해 국내 펫의료 수준을 높이고, 동물 복지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 SKT-폴리곤랩스, ‘웹3 서비스’ 글로벌로 확대한다
- SKT-오픈AI, 9월 서울서 글로벌 AI 해커톤 개최...총상금 1억원
- SKT 이프홈, 출시 100일만에 개설 50만 넘어
- SKT, 생성 AI 큐레이션으로 '티딜' 상반기 거래액 1000억 돌파
- SKT, AI 컨택센터 전문 페르소나 AI에 투자...사업 영역 확대
- 메디웨일, ‘닥터눈 CKD’로 혁신의료기기 지정...콩팥병 위험인자 예측
- SKT, 기업용 LLM 시장 나선다..."에이닷·앤트로픽·코난 3개 모델 조합"
- SKT, 반려견 주제 AI 디지털캠페인 ‘시고르자브 보건소’ 공개
- 한국유비쿼터스, 반려견 폐수종 AI 판독 시스템 개발
- SKT 반려동물 AI 의료 서비스, 호주·싱가포르 진출…고양이 진단 기능도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