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동희 SKT 혁신사업추진팀장(오른쪽)과 김동우 SKT 퀀텀사업추진팀장이 양자보안통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SKT) 
심동희 SKT 혁신사업추진팀장(오른쪽)과 김동우 SKT 퀀텀사업추진팀장이 양자보안통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SKT)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9월8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 표준화 부문(ITU-T) 정보보호연구반(SG17) 하반기 국제회의에서 '양자보안통신(QSC)' 표준 과제에 대한 개발을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

양자보안통신은 양자컴퓨터의 공격으로부터 통신 전 과정을 보호하기 위해 상호보완적인 양자키분배기술(QKD)과 양자내성암호(PQC)의 장점을 활용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통신보안기술이다.

양자키분배기술은 양자 역학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해킹이 불가능할 정도로 보안 강도가 높다. 하드웨어 기반 기술로 사업자는 물리적인 키 분배장치를 구간마다 설치하고 운용해야 한다. 양자내성암호는 수학적 난제를 활용해 양자컴퓨터가 풀어내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도록 하는 암호화 방식으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 구현이 가능해 확장성이 뛰어나다.

현재 SKT는 양자암호와 양자내성암호를 통합해 관리하는 솔루션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를 활용하면 양자암호키와 양자내성암호를 통합적으로 운영, 통신 전 구간을 양자컴퓨터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데이터를 대규모로 저장하는 데이터센터와 백업 데이터센터간이나 공공, 국방, 금융 등 중요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 센터에 양자암호기술을 적용,  외부에 전송 시 양자 내성 암호를 적용하면 안전한 통신이 가능하다. 

양자보안통신 예시 (사진=SKT) 
양자보안통신 예시 (사진=SKT) 

이와 함께 SKT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시행되는 차기 연구 회기에서 정보보호연구반 내 양자암호통신 관련 내용을 다루는 실무 작업반의 표준화 영역을 양자 기술 전반으로 확장하자는 기고도 제출해 이번 회의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더불어 SKT는 ITU-T를 포함해 ETSI(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와 GSMA(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 등에서 표준 수립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ITU-T 내에는 양자보안 및 차세대 보안 기술에 대한 표준을 수립하는 실무작업반의 의장을 맡아 양자암호통신기술 국제 표준 수립을 선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ETSI에서는 양자암호통신망의 자동 제어, 운영 기술 표준을 수립하고 이를 각기 다른 제조사의 통신 장비로 구성된 양자암호망으로 확장하는 표준 개발도 작업 중이다. GSMA에서도 양자암호 및 양자내성암호 실제 적용에 필요한 부분을 논의하고 있다.

양자암호통신 글로벌 표준 제정 등을 비롯해 이를 기반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데도 앞장서고 있다고 밝혔다. SK브로드밴드, IDQ 등과 함께 ETSI에서 다른 제조사의 통신 장비로 구성한 양자암호망 운용 표준 수립과 동시에 실증을 완료하는 등 상용화에도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양자내성암호 관련 글로벌 표준 기술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은 알고리즘을 활용해 국내 최초로 미국, 일본, 싱가폴 등 국제 VPN(가상사설망)에 양자내성암호를 상용화하기도 했다고 소개했다.

이를 바탕으로 SKT는 2016년 상용 LTE망과 2019년 서울-대전 구간 5G망에 양자키분배기 적용에 성공했다. 특히 미국, 유럽, 싱가포르 등 글로벌 시장에서 양자암호통신 구축 사업을 잇달아 유치했다고 강조했다.

하민용 SKT 최고사업개발책임자(CDO)는 "국제 회의에서 상호보완적인 양자 암호와 양자 내성 암호의 장점을 활용한 차세대 보안 기술의 표준 수립에 앞장섰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SKT는 국가대표 양자 기업으로서, 양자 암호 통신 관련 연구와 사업을 통해 글로벌 양자 암호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