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직원들이 드론을 통해 UAM용 상공망의 품질을 측정하고 있다. (사진=SKT)
SKT 직원들이 드론을 통해 UAM용 상공망의 품질을 측정하고 있다. (사진=SKT)

SK텔레콤(대표이사 유영상)은 도심항공교통(UAM)용 상공망의 통신 품질 실·예측 및 분석을 위한 통합 솔루션과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SKT는 300~600m의 운항 고도와 시속 100~150km의 순항 속도로 도심, 준도심, 관광지역 상공 항로를 비행하는 UAM 기체와 유사한 통신 환경을 갖춘 드론을 활용, 상공망의 품질을 측정하는 통합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SKT가 이번에 개발한 통합 솔루션은 드론을 통해 측정한 상공망 품질 데이터를 분석 툴을 활용해 실시간 표시하고, 측정 결과를 지도, 그래프, 도표로 시각화해 나타낸다.

또 통화, SNS, 동영상 시청 등 UAM 탑승객이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시나리오도 적용해 상공망의 통신 서비스 품질을 보다 정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SKT는 UAM용 상공망의 통신 품질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터도 개발했다.

SKT가 자체 개발한 상공망 통신 품질 예측 시뮬레이터는 비행 경로 및 고도 설정, 안테나 높이, 상향 틸트, 지향 각도 및 빔 패턴 등 통신 품질에 변화를 주는 여러 요소들의 영향을 통합 분석할 수 있다. 기지국 설치 환경, 지상망 간섭 등 현실적인 제약 상황을 고려한 상공망 투자비 산출 및 최적 설계 방안 도출에 활용 가능하다.

시뮬레이터 성능 개선을 위해 향후 최적의 기지국, 안테나 설정값을 추천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설계 모델을 개발해 상공망 품질을 높이고 분석 시간을 단축할 계획이다.

한편, SKT는 UAM 글로벌 협력사인 조비 에비에이션과 협업을 논의 중이다. 지난 3월 MWC 2023에서 UAM을 위한 상공망 비전을 제시한 바 있으며, 지난해부터 고흥, 양평의 시범 상공망 테스트베드에서 통신 품질을 점검하고 있다.

류정환 SKT 인프라 전략기술CT담당 부사장은 “UAM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기반 상공망 통신을 위해서는 주파수, 전송 기법, 장비 등 전 분야에 걸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며 “SKT는 향후 UAM이 안정적 이동 수단이 될 수 있도록 핵심 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