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스타트데이 2023 행사장 입구 전경  
슈퍼스타트데이 2023 행사장 입구 전경  

LG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슈퍼스타트가 7일부터 이틀간 마곡 LG 사이언스파크에서 ‘슈퍼스타트데이 2023’을 개최, 많은 관람객들을 끌었다.

슈퍼스타트데이는 LG가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오픈이노베이션 페스티벌로, 2018년부터 ‘LG 스타트업 테크페어’ ‘LG 커넥트’라는 이름을 거쳐 올해로 6회째를 맞는다.

이번 행사에서는 올해 LG가 새롭게 발굴한 스타트업 40곳이 참가, 이틀간 전시부스에서 제품과 기술, 서비스를 소개했다. 또 글로벌 연사의 인사이트를 들어보는 세미나와 40여 스타트업의 IR 피칭을 진행했다.

AI 스타트업 부스 
AI 스타트업 부스 

참여기업은 인공지능(AI), 바이오&클린 테크, 라이프스타일, 하드테크 등으로 구분했다. AI 기업으로는 스모어톡, 캐리, 리콘랩스, 썸테크놀로지스, 나니아랩스 등 10개 업체가 참가했다.

행사장에는 관람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특히 LG 임직원들의 관심이 뜨거웠다. 부스를 돌며 다양한 기술과 제품을 체험해 보는 것은 물론 세부 소개에도 귀 기울이는 모습이었다.

스모어톡 전시 부스 
스모어톡 전시 부스 

비주얼 콘텐츠 생성 AI 전문 스모어톡은 ▲생성 AI 기반 스톡 이미지를 제공하는 B2C 서비스 '플라멜'과 ▲AI 모델 학습 및 서빙을 도와주는 B2B 서비스 '플라멜 엔터프라이즈'를 선보여 호응을 얻었다. 

이정민 스모어톡 CSO는 “이번 행사를 통해 많은 이들의 의견을 듣고 기술 개발 방향에 많은 아이디어 얻을 수 있어 좋았다”라며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들이 더 좋은 기술이 나왔을 때 새로운 것으로 갈아타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고 느꼈다. 그래서 오히려 서둘러 출시하기보다, 기술을 제대로 고도화한 뒤 내놓는 것이 좋겠다는 판단이 들었다”고 말했다.

또 이미지 생성이 지닌 여러 저작권 이슈에서는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저작권자와 사용자가 상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발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보다도 이미지 생성 시장의 활성화가 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번 전시를 통해 놀랐던 점은 부스를 찾은 관람객 중 95% 정도가 이미지 생성 AI를 사용해 본 적 없다고 대답한 것”이라고 말했다.

스모어톡의 검색형 이미지 생성 어시스턴트 ‘플라멜’은 기술 고도화 및 다양한 기능을 탑재해 9~10월 중 공식 출시할 예정이다. 

캐리 전시 부스 
캐리 전시 부스 

스타트업 캐리는 '아트나비'라는 AI 그림 배송 서비스로 시선을 끌었다.

아트나비는 사용자가 프롬프트를 입력해 그림을 생성하면, 이를 캔버스 액자로 프린트해 배송해 주는 서비스다. '풍경' '반고흐 스타일' 등의 프롬프트로 멋진 그림을 쉽게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캔버스에 프린트, 사람이 캔버스에 직접 그린 그림과 매우 유사한 모습으로 완성해 준다. 

관람객들은 "AI 그림이에요"라고 놀라며, 가까이에서 들여다보고 만져보는 등 신기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십일리터 부스 
십일리터 부스 

집에서 스마트폰으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3분 만에 확인할 수 있는 십일리터의 '라이펫'도 인기였다.

라이펫은 ▲20가지 문항으로 10개 부위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비대면 문진' ▲스마트폰 사진 1장으로 질병의 유무와 진행 정도를 판단하는 'AI 건강체크' ▲일대일로 수의사의 최종 소견을 제시해 주는 '온라인 상담'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는 반려동물의 슬개골탈골 유무와 치아 상태에 집중하고 있으며, '비만도 측정'도 조만간 출시한다.

라이펫에 등록된 반려동물은 2만2000마리, 누적 건강체크는 2만7000건에 달한다. 십일리터는 직접 반려견 5000마리의 뒷모습 사진 1만5000장을 찍어 AI 학습을 위한 데이터셋을 구축했다.

김광현 십일리터 대표는 "데이터를 모으는 데 1년~1년 반 정도가 걸린다. 슬개골, 치아, 비만도를 시작으로 다양한 질병 체크 기능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