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범 대표가 행사 개막을 알리고 있다.
권영범 대표가 행사 개막을 알리고 있다.

전사적 자원관리(ERP) 전문 영림원소프트랩(대표 권영범)은 19일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창립 30주년 기념 '2023 영림원소프트랩 기업문화 혁신 컨퍼런스' 및 기자간담회를 개최, 다수 플랫폼 및 솔루션을 소개했다. 

핵심은 '문화'와 '디지털', 두 축의 융합이었다. 30년간 ERP 외길을 걸어온 영림원소프트랩의 기술력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기업 문화를 바꿀 수 있는 서비스 및 플랫폼'을 선보이겠다는 목표다. 

권영범 대표는 "개인의 자발적 업무와 수평적 기업 문화가 곧 생산성을 극대화한다"며 AI와 노코드, 로우코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클라우드가 새로운 업무 환경을 가능케 하는 핵심 키워드라고 강조했다. 

노코드 앱 개발 플랫폼 '플렉 스튜디오'가 대표적이다. 12단계의 간단한 매뉴얼만으로 하나의 앱을 생성, 링크를 통해 구성원을 초대할 수 있는 방식이다. 기업 구성원들 간 사용에 특화한 B2B 전문 플랫폼이다. 

다양한 템플릿을 이용해 여러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 한 기업에서는 사내 식수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도 했다. 사내 투표도 가능한 편리성과 실용성을 강조했다. 

플렉스튜디오 체험 장면
플렉스튜디오 체험 장면

특히 이번에 선보인 2.0 버전은 개발 허들을 낮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에는 최소 개발 인력이 필요했으나, 이번에는 AI 기능을 고도화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AI로 '화면 정보 추출' '데이터 저장소 제작' '데이터 처리 이벤트 자동 생성' '사용 데이터 저장' 등 애플리케이션 제작 과정의 다수 부분을 간소화했다. 특히 앱을 개발 후 배포, 사용자 인증 등 번거로운 과정을 모두 생략해 빠른 제작과 적용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권오림 팀장이 플렉스튜디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권오림 팀장이 플렉스튜디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플렉스튜디오를 총 담당하는 권오림 팀장은 "기업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니즈와 아이디어를 적극 펼칠 수 있도록 돕겠다"며 "이를 넘어 점차 B2C 영역으로도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즉 기업이나 개인이 '디지털 소비자'에 머무르지 않고 '생산자'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밝혔다.

행사장 전경
행사장 전경
행사장 입구
행사장 입구

컨퍼런스 본행사 및 부스 운영에는 많은 인파가 몰렸다. 특히 전용 부스에서는 AI 기업 경영고도화 솔루션 'K-시스템 AI'까지 선보였다. 기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영업 이익 등을 예측, 이에 GPT API를 결합해 질의응답 형으로 분석 결과를 받아볼 수 있는 솔루션이다. AI 클라우드 ERP인 '에버시스템'에 일부 기능으로 도입, 올해 안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본행사에서는 기업문화 혁신 플랫폼 '에버레스크(EverAsk)'를 선보였다. 익명성을 보장해 참여도를 높이고 새로운 브레인스토밍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아이디어를 수집하는 역할을 맡는다. 또 임직원들이 공감할 만한 질문을 탐색하는 콘테스트 기능과 다양한 유형의 설문을 제공하며 최고경영자와의 직접 소통 창구를 마련한다는 설명이다. 

홍기화 영림원소프트랩 기획혁신팀 상무는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에버레스크를 기획했다"고 밝혔다. 

통합 뷰 클라우드 서비스 '에버런(EverOnOne)'은 다수 기업의 SaaS, 앱 등을 모아볼 수 있는 시스템이다. 여러 앱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한 화면에서 조회할 수 있도록 데이터 중앙화와 원클릭 이동 기능도 지원한다. 

Q&A를 진행 중인 권영범 대표와 권오림 팀장
Q&A를 진행 중인 권영범 대표와 권오림 팀장

또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기반으로 서비스를 구성, 보안과 안정성을 강화했다. 2024년 1분기 베타 출시할 예정이다.

영림원소프트랩은 플렉스튜디오를 이용한 '기업문화 혁신 모바일 앱 아이디어 공모전'을 진행, 공모사의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토대로 실제 개발까지 추진한 바 있다. 실용성 및 노코드, 로우코드의 개발 가능성을 입증한 만큼 앞으로 AI 기능을 결합해 개발의 허들을 더욱 낮출 전망이다.

권영범 대표는 "기업 문화를 혁신하는 도구를 개발, 보급하는 데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것이 경영을 더 잘하게 하는 방법이라고 믿는다"며 행사를 마무리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