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무하유)
(사진=무하유)

인공지능(AI) 전문 무하유(대표 신동호)는 프리 IPO 투자(상장 전 지분투자) 라운드에서 150억원을 유치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2011년 7월에 설립된 무하유의 첫번째 외부 투자 유치다. DSC인베스트먼트와 데브시스터즈벤처스, 스틱벤처스가 참여했다. 이를 계기로 무하유는 오는 2025년 코스닥 상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무하유는 AI 기술을 활용해 업무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하고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형태로 제공한다. 논문 표절 검사 서비스 ‘카피킬러’가 대표적이다. 카피킬러는 AI가 논문과 인터넷 게시글 등 100억 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논문의 표절 확률을 계산한다. 현재 국내 4년제 대학 열곳 중 아홉곳애서 사용하고 있다.

또 '챗GPT' 열풍에 발맞춰 생성 AI 기술을 빠르게 내재화, 지난 6월 'GPT킬러'를 출시했다. GPT킬러는 95% 이상의 정확도로 생성 AI로 작성한 문장을 찾아내는 국내 최초의 디텍트GPT 솔루션이다. 다른 탐지 도구와 달리 한글을 지원한다.

최근 사업 영역을 문서 분석에서 채용 시장으로 확장하고 있다. GPT킬러는 현재 AI가 입사 지원자의 자기소개서 및 서류를 평가해주는 서비스 ‘프리즘’과 카피킬러에 적용했다. 지난해 4월에는 대화형 AI 면접 서비스 ‘몬스터’를 출시했다.

이번 투자로 AI 기술을 고도화해 중국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할 계획이다. 앞서 2020년 6월에는 일본어 전용 표절 검사 서비스 ‘카피모니터’를 선보인 바 있다. 카피모니터는 일본 대학 50여곳에서 사용 중이다.

또 투자금을 연구개발(R&D)에 활용, ‘평가 자동화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다. 생성 AI를 활용한 글쓰기가 보편화될 경우 글을 읽고 평가하는 교수와 인사담당자가 직면할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표현의 구체성 평가’와 ‘언어적 표현력 평가’ ‘유효성 검사’ 등을 포함한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다.

신동호 무하유 대표는 “이번 투자를 기반으로 2025년 코스닥 상장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생성 AI가 보편화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기술과 서비스로 해결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