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전문 무하유(대표 신동호)는 중국어 버전 표절 검사 서비스 '카피킬러 차이나'를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무하유는 중국 진출을 통해 해외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카피킬러는 내용 표절, 출처 미표기, 중복 게재 등 사람이 파악하기 힘든 작업을 AI 기술을 이용해 빠르게 검토할 수 있는 AI 표절 검사 솔루션이다. 무하유는 2011년 한국어 전용 카피킬러 솔루션을 선보인 후, 12년간 자연어이해(NLU) 노하우를 쌓아왔다.
이를 바탕으로 2020년 카피킬러의 일본어 버전인 '카피모니터'를 개발하며 일본 시장에 진출했다. 현재 일본 내 60여개 대학교에서 약 2만5000명이 카피모니터를 활용 중이며, 학교별로 월평균 10만건 내외의 문서를 검사하고 있다.
일본 진출 경험을 발판 삼아 중국 시장에 카피킬러 차이나를 선보인다. 카피킬러 차이나는 중국어 및 영어 논문에 대한 표절 검사 서비스를 제공한다.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과제물을 검사할 수 있는 솔루션이지만, 기관 고객이 요청할 경우 API 연동 방식으로 기관 라이선스를 제공한다.
표절률 과탐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중국 현지 서비스들이 지원하지 않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문서 형식에서 목차 및 참고문헌 영역을 인식한 후 표절검사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으며, 표절이라고 볼 수 없는 상용구문 등도 표절검사 대상에서 배제함으로써 과탐지를 방지할 수 있다.
인용/출처표기법은 중국 표준 기법인 'GB/T 7714'을 포함해, 글로벌 스탠다드인 'MLA, APA, 시카고, 벤쿠버' 방식 등을 채택하고 있다. 중국의 법령이나 당규는 물론, 유교경전·불교경전·쿠란·미국법령 등에 대한 인용도 인식하고 표절검사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OCR(광학문자인식) 기술을 탑재하고 있어 과제물 스캔본처럼 이미지로 된 문서에 대해서도 표절 검사가 가능하다. 한번에 하나의 문서만 업로드 가능한 중국 서비스들과 달리, 다중 파일 첨부 기능을 제공해 많은 문서를 일괄 업로드한 후 업로드된 문서끼리 비교할 수 있다.
신동호 무하유 대표는 "지난 12년간 AI 기반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를 운영하며 축적해 온 문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무하유만의 자연어이해 노하우를 고도화해 왔다”라며 “카피모니터가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해 일본 내 사용자들의 표절 검사를 돕고 있는 것처럼, 중국에서도 카피킬러 차이나만의 차별점으로 입지를 다져 나갈 예정이다. 앞으로도 해외 사업을 확장하며 한국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 무하유, 표절검사 '카피킬러'에 출처검사 도입..."참고문헌까지 검증"
- 무하유, ‘카피킬러’로 150억 프리 IPO 투자 유치…2025년 상장 추진
- "자소서 10건 중 2건은 챗GPT 작성"...무하유, AI 서류 평가에 'GPT킬러' 연동
- 무하유 "대학내 응답자 87.1%, 문서 작성에 챗GPT 활용"
- 무하유, 개발 전 직군 경력직 대규모 채용
- [신년사] 무하유 "HR 자동화로 실제 수요 시장 구축할 것"
- 무하유, AI 영상분석 전문 이광주 CTO 영입
- 무하유 "개발 직군이 비개발보다 최대 8배 이상 챗GPT 사용"
- 무하유, 글자 단위 문서 비교·검사 서비스 ‘카피킬러 DIFF’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