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대표 한종희, 경계현)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 개막에 앞서 진행한 ‘삼성 퍼스트 룩 2024’ 행사에서 차세대 AI 프로세서를 공개, ‘AI 스크린 시대’의 포문을 열었다고 8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18년간 기술력과 노하우가 집약된 ‘NQ8 AI 3세대’ AI 프로세서와 이를 탑재한 2024년형 Neo QLED 8K TV(QN900D)를 선보였다. 이 프로세서는 삼성전자가 2020년부터 연구 개발해 온 AI 시스템온칩(SOC) 기술을 집대성, 전년 대비 8배 많은 512개의 뉴럴 네트워크와 2배 빠른 신경망처리칩(NPU)를 탑재한 제품이라는 설명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2024년형 네오 QLED 8K는 ▲저화질 콘텐츠를 8K 화질로 선명하게 바꿔주는 ‘8K AI 업스케일링 프로’ ▲AI 딥러닝 기술로 스포츠 종목 자동 감지, 공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보정하는 등 영상의 왜곡을 줄여주는 ‘AI 모션 인핸서 프로’ ▲화면의 다양한 음원 중 음성만 분리해 대화 내용을 명료하게 전달하는 ‘액티브 보이스 앰플리파이어 프로’를 지원한다.
AI로 소비자들이 좋아하는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접근성 기능도 향상했다.
2024년형 삼성 TV에는 세계 최초로 AI와 광학식 문자인식(OCR) 기술을 활용해 자막을 실시간으로 음성 변환해주는 ‘들리는 자막’ 기능이 적용됐다. 화면의 윤곽선과 색상을 재조정하는 AI 기술을 적용해 저시력자가 별도의 기기 없이도 좋아하는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릴루미노(Relumino) 모드’도 강화했다.
이 밖에도 업계 최초 무선 8K 프로젝터 ‘더 프리미어 8K’, 액자형 스피커 ‘뮤직 프레임’ 등 신제품과 몰입감을 극대화하는 2024년형 사운드바도 선보였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사장은 “삼성 AI 스크린은 가정의 중심에서 집안의 모든 기기들을 연결·제어하는 ‘AI 홈 디바이스’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며 “차세대 AI 프로세서와 타이젠 OS를 바탕으로 기존 스마트 TV를 넘어 새로운 삶의 방식을 선사하는 ‘AI 스크린 시대’를 선도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 참가업체 중 가장 넓은 3934㎡(약 1192평) 규모로 전시관을 마련하고, 주요 스폰서로 대형 옥외광고를 전시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