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이 전체 계열사 업무 전반에 생성 인공지능(AI)을 본격 도입한다.
롯데정보통신(대표 고두영)은 최근 기업 대상 인공지능(AI) 플랫폼 ‘아이멤버(Aimember)’를 롯데그룹 전 계열사에 도입, ‘혁신을 위한 AI 경쟁력 강화’를 본격화한다고 24일 밝혔다.
아이멤버는 다양한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 라인업을 구축, 이를 통해 기업 내부 정보를 학습한 결과다. 안전한 프라이빗 AI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취지다.
‘GPT-4’ ‘달리-3’와 같은 상용 퍼블릭 AI 서비스에 보안 필터를 적용, 개인 및 기업 중요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시큐얼(Secure) 퍼블릭 AI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자체 보안 알고리즘을 적용해 기업 내부 정보 유출 문제를 원천 차단한다고 강조했다.
사용자는 문서 번역 및 요약, 크로마키 메이커, 코드 생성, 홍보문구 작성 등 AI 서비스를 이용해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신입사원의 경우 어려운 비즈니스 이메일 작성을 몇초만에 회사 내부 규정에 맞춰 작성할 수 있다.
또 회사 규정이나 경영 정보를 질문, 실시간으로 답변을 얻어낼 수 있다. 대화형 서비스도 PC와 모바일로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아이멤버에 적용한 언어모델 '롯데GPT'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업스테이지가 주최하는 ‘오픈 Ko-LLM리더보드’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한국어 이해력과 추론, 상식 생성 능력 등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평이다.
이달 중에는 계열사별 고유 권한으로 직접 내부 문서를 업로드, 더욱 안전하게 롯데GPT를 활용할 수 있도록 커스텀 챗봇 기능을 오픈할 계획이다.
앞으로는 환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모델 성능 업데이트와 서비스 아키텍처 고도화 등을 거칠 예정이다. 내부 임직원뿐만 아니라 고객사별 니즈를 반영한 자체 개발 도메인 특화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계열사와 협업해 AI 기술을 적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 업무 전반에 AI를 활용될 수 있도록 50여개 세부 과제를 선정해 개발에 착수했다는 설명이다.
한편 롯데정보통신은 최근 데이터 공유, AI 분석, 데이터 마켓 등의 기능을 망라한 빅데이터 플랫폼 ‘스마트리온’을 활용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화형 BI를 준비 중이다.
고두영 롯데정보통신 대표는 “국내 최대 규모 인프라를 활용해 잠재 데이터와 아이멤버 AI 기술을 융합,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할 것”이라며 "빅데이터, 클라우드, AI 등 신기술을 접목해 그룹의 차세대 도약을 위해 전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