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정보통신 CES 부스 정면 (사진=롯데정보통신)
롯데정보통신 CES 부스 정면 (사진=롯데정보통신)

롯데정보통신(대표 고두영)은 자회사 칼리버스와 함께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 2024' 현장에서 메타버스 플랫폼 ‘칼리버스’를 전격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칼리버스는 사실적 비주얼과 독창적 인터랙티브 기술을 접목해 쇼핑, 엔터테인먼트, 커뮤니티 등을 탑재한 '글로벌 탑티어' 초실감형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핵심 신기능은 UGC(유저 생성 콘텐츠), 즉 사용자가 가상 공간에 자신만의 콘텐츠를 쉽게 생성,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중 ‘라이브 메타버스 기술’은 실제 인물의 모습을 가상공간에 구현해 사용자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도록 돕는 기술이다. 글로벌 그래픽 엔진 ‘언리얼엔진5’를 사용해 움직임까지 사실감 있게 표현한다는 설명이다.

칼리버스 내부 예시 이미지 (사진=롯데정보통신)
칼리버스 내부 예시 이미지 (사진=롯데정보통신)

실제 몇초 내로 현실 속 인물을 가상 공간 내부 디지털 오브젝트에 합성하기 때문에, 메타버스 속 인물과 사용자가 공간 제약 없이 소통이 가능하다. 이 기술을 응용할 경우 아이돌, DJ 등 아티스트들이 카메라로 자신의 모습을 반영해 메타버스 공간에서 공연과 소통을 진행할 수도 있다.

플랫폼 내부 3D 아바타도 키, 체형, 눈 크기, 미간, 코 높이 등 개인 취향에 맞게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흩날리는 아바타의 머릿결까지 보여주며 손에 쥔 아이템을 이용해 폭죽을 발사하거나 총을 쏠 때 발생하는 그림자 표현까지 구현했다. 특히 건물에 반사되는 빛 묘사 등 사실감과 몰입도에 초점을 맞췄다는 설명이다. 

고사양 그래픽에도 많은 수용자를 지원하도록 MMO(온라인 대규모 다중 이용자) 기반 대규모 동시 접속도 지원한다. 음성과 채팅 기반 커뮤니티 환경을 제공해 다수 사용자가 실시간 소통 및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칼리버스 내부 제품 디테일 (사진=롯데정보통신)
칼리버스 내부 제품 디테일 (사진=롯데정보통신)

인공지능(AI)도 본격 적용했다. 가상 쇼핑 경험을 위해 현실적 디지털 트윈 기술을 이용했다. 이번 CES에서는 모바일 기기로 제품을 촬영, 가상 공간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기술을 소개하기도 했다.

특히 제품의 가려진 부분은 AI를 활용해 자동으로 생성하는 ‘AI 모바일 스캐닝 기술’을 탑재해 정밀한 묘사를 가능케 했다. 이는 추후 순차 적용할 예정이다.

또 여러 산업과의 협업으로 온오프라인을 결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현재는 코리아세븐과 롯데하이마트, 롯데면세 등 다수의 유통 채널과 함께하고 있으며, 패션 브랜드로는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그룹의 지방시, 프레시, 메이크업포에버와 MCM, 록시땅 등이 참여하고 있다.

칼리버스 티저 이미지 (사진=롯데정보통신)
칼리버스 티저 이미지 (사진=롯데정보통신)

추후 협력하며 웹3 기반 수익 모델을 도입, 상호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예정이다. 

고두영 롯데정보통신 대표는 “가상세상과 현실세상을 연결하는 새로운 창구로 미래 산업의 독보적 비즈니스 전환을 이끌어 갈 계획”이라며 “혁신적 기술을 적용한 롯데만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더 나은 미래와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