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사업 본격 추진, GPU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글로벌 GPU 클라우드 기업 람다에 투자를 진행했다고 21일 밝혔다.
AI 엔지니어가 설립한 람다는 엔비디아로부터 최신 GPU를 공급 받아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스티븐 발라반 람다 창업자 겸 CEO는 지난 12월 서울을 방문했으며, 1월에는 미국 산호세 람다 본사에서 협상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SKT가 추진 중인 AI 데이터센터는 기존의 물리적 공간을 제공하는 방식과 다르다는 설명이다. AI 학습과 추론 등에 필수적인 GPU 서버와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전력 공급, 열효율 관리를 위한 냉각 시스템을 제공한다.
SKT는 이번 투자로 안정적인 GPU 확보 경로를 구축, 국내 최대 규모의 AI클라우드 역량 기반 데이터센터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람다와 글로벌 사업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도 상반기 내로 체결, 국내로 AI 클라우드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자회사 SK브로드밴드 데이터센터 운영 노하우는 물론,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 메모리(HBM), 사피온의 데이터센터용 AI반도체 등 SK ICT 패밀리사가 보유하고 있는 역량을 데이터센터 사업에 결집해 경쟁력을 높일 예정이다.
향후 글로벌 시장으로도 확장할 계획이며, 첫 번째 진출지역으로 동남아시아를 고려하고 있다. 동남아시아는 AI 데이터센터 건립을 위한 최적의 입지로 각광 받고 있다.
이번 MWC24에서 동남아시아 지역 내 데이터센터 운영 역량을 보유한 사업자와 협력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유영상 SKT 대표는 “SKT가 보유한 AI 역량과 안정적인 GPU를 기반으로 AI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시장에 본격 진출하고자 한다”라며 “인프라를 포함한 관련 역량을 지속적으로 키워 국내는 물론 글로벌 AI 산업을 이끄는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람다는 SKT가 참가한 이번 투자 라운드에서 15억달러(약 2조원)의 회사 가치로 3억2000만달러(약 4300억원) 투자 유치에 성공, 유니콘 기업에 올랐다.
투자에는 US 이노베이티브 테크놀로지가 주도, B 캐피털, 슈퍼 마이크로 등 신규 투자자, 크레센트 코브 및 블룸버그 베타 등이 참가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