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두영 롯데정보통신 대표(오른쪽)와 도시의 푸른농장 담당자가 쇼룸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롯데정보통신)
고두영 롯데정보통신 대표(오른쪽)와 도시의 푸른농장 담당자가 쇼룸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롯데정보통신)

롯데정보통신(대표 고두영)은 스마트팜 플랫폼 ‘도시의 푸른농장’을 론칭했다고 27일 밝혔다.

도시의 푸른농장은 누구나 쉽게 작물 재배가 가능한 스마트팜 플랫폼이다. 농장의 설계, 구축, 운영 및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지원한다. 작은 공간 위로 층별 설계한 특별 구조물을 통해 일반 농지의 6~10배, 타사 스마트팜의 1.5배 이상에 이르는 수확물을 거둘 수 있다. 해당 레이아웃은 특허청에 디자인 등록된 상태다.

특히 도심에서도 충분히 농장 운영이 가능해 투잡 및 귀농을 꿈꾸는 이들에게 유용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아울러 AI, 클라우드, 빅데이터를 활용한 자동화 원격 시스템을 제공한다. 최첨단 환경센서를 통해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최적 양액 상태값 등 환경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전송한다. 작물 생육을 위한 최적의 환경값을 구현하기 위해서다.

스마트팜 소유자는 웹과 앱을 통해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 관리할 수 있다.

이외에도 운영 및 재배 매뉴얼과 로메인, 버터헤드, 바타비아 등 작물별 최적 레이아웃 구축, 거래처 유통 연계, 창업 지원 등을 제공해 비전문가도 스마트팜 설계와 운영이 가능하다.

ESG 경영에도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양액 재활용을 통해 물과 비료를 약 30~40% 저감, 무농약 재배 공법으로 안전하고 깨끗한 농산물을 공급한다. 청년 실업자 및 조기 은퇴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팜 일자리 창출, 전문인력 양성도 추진 중이다. 향후 유관 기관 및 기업과 협업해 스마트팜을 통한 ESG 경영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26일에는 가산동 구관 건물에 ‘도시의 푸른농장’ 테스트 베드 및 쇼룸을 구축하고 개관식을 열었다. 테스트 베드는 다양한 작물 연구를 진행하는 공간, 쇼룸은 스마트팜을 구축하려는 고객에게 실제 재배 과정을 보여주고 사업 전반의 컨설팅을 제공해 주는 공간이다.

테스트베드 현장 사진 (사진=롯데정보통신)
테스트베드 현장 사진 (사진=롯데정보통신)

고두영 롯데정보통신 대표는 “도시의 푸른농장은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기술 역량을 활용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분야”라며 “ICT 기술을 기반으로 더 뛰어난 품질과 생산량을 확보하도록 플랫폼을 지속 개발하겠다”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