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계풍 이스트소프트 AI 사업본부 이사(왼쪽)와 사사키 유이치 스파이럴AI 대표가 MOU 체결 기념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이스트소프트)
변계풍 이스트소프트 AI 사업본부 이사(왼쪽)와 사사키 유이치 스파이럴AI 대표가 MOU 체결 기념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이스트소프트)

인공지능(AI) 서비스 전문 이스트소프트(대표 정상원)는 일본의 대형언어모델(LLM) 응용 서비스 전문 스파이럴AI와 'AI 휴먼 공동 사업' MOU를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스파이럴AI는 일본의 유망 LLM 응용 서비스 스타트업이다. 시드 단계에서부터 100억원 이상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현재 챗GPT와 자체 LLM을 기반으로 한 챗봇, 음성봇 생성 노코드 플랫폼 '트윈룸(Twin Room)', 음성인식 업무지원 솔루션 '다이얼 메이트(Dial Mate)' 등을 서비스 중이다.

일본 최대 간호-간병, 건강증진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널싱(Nursing) 사업자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어 시니어케어로도 사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이스트소프트 AI 휴먼을 활용할 에정이라고 전했다.

양사는 ▲일본 내 최대 널싱 케어 사업자를 위한 말벗 서비스 공동 개발 프로젝트 착수 ▲일본 3000만 시니어를 위한 말벗 서비스 공동 개발 프로젝트 협의 ▲일본 아이돌 IP 활용한 말벗 서비스 공동 프로젝트 추진 가능성 논의 등으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이스트소프트는 AI 휴먼을 현지 서비스에 빠르게 도입할 수 있도록 SDK 형태로 제공할 계획이다.

즉 일본 시장에서 새로운 형태의 AI 서비스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목표다. 실제 일본 3대 메가뱅크 중 하나인 미즈호은행은 실버산업의 규모가 2025년까지 약 10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이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2030년 168조원으로 전망한 국내 실버산업 대비 약 6배 큰 규모다.

변계풍 이스트소프트 AI 사업본부 이사는 “AI 휴먼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위한 전략적 판단”이라며 “SDK 제공, 개발을 통해 다른 서비스로의 AI 휴먼 확장 기반도 갖추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