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가  예고 없이 중국을 방문해 베이징에서 리창 중국 총리를 만났다. (사진=X/일론 머스크)
일론 머스크가  예고 없이 중국을 방문해 베이징에서 리창 중국 총리를 만났다. (사진=X/일론 머스크)

전기차 판매 부진으로 고전 중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중국을 깜짝 방문해 리창 총리를 만났다. 중국 내 완전자율주행(FSD) 서비스 출시를 위한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가 중국 내 FSD 출시를 승인받아 실적 부진을 극복할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로이터는 28일(현지시간)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머스크 CEO가 이날 예고없이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중국의 리창 총리를 만났다고 보도했다.

머스크는 자신의 X(트위터)에 “리 총리와 만나게 돼 영광”이라며 “우리는 상하이 초기부터 지금까지 여러해 동안 인연을 이어오고 있다”라고 말했다. 테슬라가 2019년 상하이 기가팩토리를 열었을 때 당시 상하이 당서기였던 리 총리와 인연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방중은 테슬라의 중국 내 FSD 소프트웨어 출시를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테슬라는 중국 규정에 따라 수집한 데이터를 중국 현지에만 보관하고 미국으로 전송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때문에 FSD 서비스를 중국 차량에 서비스하지 못하고 있다. 수집한 데이터를 인공지능(AI) 학습을 위해 미국으로 보내기 위한 허가를 받는 것이 이번 방문의 목적이라는 설명이다. 

실제 머스크의 방중에 맞춰 중국 당국은 테슬라를 대상으로 한 데이터 안전 검사에서 외자기업 최초로 ‘적합’ 판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테슬라의 중국 내 완전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도입 가능성에서 청신호가 켜졌다.

이날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데이터 안전 검사를 거쳐 중국의 데이터 보안 요구 사항을 준수하는 것으로 확인된 76개의 자동차 모델 목록을 발표했는데 테슬라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생산된 모델3, 모델Y 등 3개 차종이 모두 검사를 통과했다. 

데이터 안전 검사를 통과했다고 데이터의 해외 반출이 허용된 것은 아니지만, 이를 위한 최소한의 조건은 통과된 것이다.

머스크는 이번 달 X에 올라온 질문에 답변하면서 “곧 중국 테슬라 고객도 FSD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지도 모른다”라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전기차 시장 성장세 둔화와 중국 업체의 부상으로 테슬라의 실적 부진이 악화하는 가운데 이뤄졌다.

또 테슬라는 판매 감소와 중국 브랜드가 주도하는 전기차 가격 전쟁 심화로 인해 최근 전체 인력의 10% 감원 계획을 밝히고, 중국과 미국 등에서 전기차 가격 인하에 나섰다. 

게다가 미국 도로교통안전청(NHTSA)은 테슬라의 자동 조종 장치인 오토 파일럿의 기술 결함으로 최소 467건의 충돌 사고가 발생했으며, 그 중 13건이 사망에 이르렀고 다수는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고 발표했다. 

실적 악화와 악재에 빠진 테슬라가 중국 내 FSD 출시를 승인받아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에서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