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오른쪽)와 조성현 HL만도 부회장이 13일 판교 넥스트 M에서 열린 업무 협약식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카카오모빌리티)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오른쪽)와 조성현 HL만도 부회장이 13일 판교 넥스트 M에서 열린 업무 협약식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대표 류긍선)가 HL만도(대표 조성현)와 손잡고 자율주행 주차로봇의 기술 고도화와 상용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이를 통해 주차 로봇이 결합된 스마트 주차장을 구축하고, 로봇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의 상용화를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HL만도의 자율주행 주차로봇 ‘파키(Parkie)’를 기반으로 로봇 발레파킹이 접목된 스마트 주차장 서비스를 개발하고, 신규 시장 발굴에 나설 계획이다. HL만도가 지난해 12월 공개한 자율주행 주차 로봇 파키는 차량 아래로 들어가 차체를 살짝 들어 올린 뒤 차를 운반하고 주차하는 기술을 갖고 있다. 

HL만도는 ▲파키의 상용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을 담당하고, 카카오모빌리티와 주차장 운영 및 솔루션 전문 자회사 케이엠파킹앤스페이스는 ▲주차장 내 자율주행 구현에 필요한 디지털트윈 구축과 ▲자율주행 주차 로봇이 접목된 스마트 주차장 서비스 개발 및 운영 ▲카카오 T 플랫폼 연계 서비스 개발 등을 맡는다. 

양사는 카카오모빌리티의 디지털 트윈 구축 역량을 바탕으로 주차장을 디지털트윈으로 구축해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하기로 했다. HL만도의 파키에 카카오모빌리티의 카카오 T, 카카오내비 플랫폼과 디지털트윈 기술, 주차장 운영 역량을 결합해 주차 로봇에 모빌리티 서비스를 결합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한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주차장은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는 중요한 인프라"라며 “모빌리티 인프라와 디지털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술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미래 모빌리티 기술의 상용화와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현 HL만도 부회장은 “3사의 파킹 토탈 솔루션 구축을 통해 주차로봇 서비스 대중화를 앞당기게 됐다”라며 “카카오모빌리티, 케이엠파킹앤스페이스와 함께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