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링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직원이 배송 로봇에 소포를 싣는 모습 (사진=카카오모빌리티)
브링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직원이 배송 로봇에 소포를 싣는 모습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대표 류긍선)는 로봇 배송 서비스 ‘브링(BRING)’과 로봇 오픈 API 플랫폼 ‘브링온(BRING-ON)’을 출시, 로봇 배송 서비스 상용화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브링은 배송 로봇과 카카오모빌리티의 로봇 오픈 API 플랫폼 ‘브링온’이 결합된 상품으로 ▲식음료 배달 ▲사무실 내 우편 배달 ▲호텔 내 컨시어지 서비스 등 고객의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로봇으로 수행할 수 있다.

브링온은 오픈 API를 기반으로 다양한 배송 주문과 로봇을 연동해, 사무실·호텔·아파트·병원 등 로봇을 고려해 설계되지 않은 기존 건물에도 바로 배치해 운영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브링온에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축적해 온 AI 최적 배차·수요예측·라우팅 등의 모빌리티 기술이 집약적으로 담겼다. 

카카오모빌리티는 LG전자와 2022년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LG전자의 신규 배송 로봇 ‘LG 클로이 서브봇’을 브링 플랫폼에 도입했다. LG전자의 로봇 하드웨어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완성도 높은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

양사는 25일 서울 성수동 ‘누디트 서울숲’에 브링을 도입하는 것을 시작으로 로봇 배송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연구소장은 “카카오모빌리티의 플랫폼 기술이 집약된 브링은 어떤 서비스라도, 어떤 로봇이라도 연동 가능한 확장성이 특징”이라며 “로봇 기술이 먼 미래가 아닌 현재 일상에서 불필요한 이동을 줄이고 일상의 가치를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