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카카오클라우드)
(사진=카카오클라우드)

카카오엔터프라이즈(대표 이경진)는 독일 ‘국제 슈퍼컴퓨팅 컨퍼런스(International Supercomputer Conference)'에서 발표한 전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 톱500 내에서 카카오클라우드가 44위, 70위를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전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 집계를 나타내는 '톱500'은 1993년 이래로 매년 2차례 6월 독일과 11월 미국 슈퍼컴퓨팅 컨퍼런스에서 전 세계 가장 강력한 슈퍼컴퓨터 500대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톱500 슈퍼컴퓨터 순위는 CPU/GPU 코어와 무관하게 1초당 수행하는 연산을 나타내는 플롭스(FLOPS) 단위만을 측정해 가장 높은 플롭스를 기록한 순으로 순위를 매긴다.

카카오클라우드는 올해 처음으로 톱500에 진출, 100위권 내 2종의 슈퍼컴퓨터를 랭크시켰다.

44위를 기록한 'AMD EPYC, A100 GPU, Infiniband' 구성의 카카오클라우드는 21.21페타플롭스(PFlops)를, 70위를 기록한 'XEON Platinum, A100 GPU, Infiniband' 구성의 카카오클라우드는 15.94페타플롭스(PFlops)를 기록했다.

순위권 국내 기업 중 클라우드제공사업자(CSP)로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유일하다는 설명이다.

44위가 기록한 21.21페타플롭스(PFlops)의 경우 1초에 2.1경 번 연산이라는 천문학적 처리량을 나타낸다. 일반 PC 212만대가 동시에 연산하는 것과 같다는 설명이다.

슈퍼컴퓨터 순위 (사진=TOP500.org)
슈퍼컴퓨터 순위 (사진=TOP500.org)

뛰어난 클러스터링 최적화도 강조했다. 처리량(FLOPS)을 높이기 위해선 CPU/GPU 코어를 늘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만큼 비용도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카카오클라우드는 클러스터링 및 최적화 기술, 고도화된 아키텍처를 통해 단점을 해결했다고 전했다. 그 결과 16만704코어로 순위권 내 비슷한 슈퍼컴퓨터 중 유일하게 20페타플롭스(PFlops)를 넘겨 동급 1위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70위의 경우 11만 5072 코어로 순위권 내 유사한 코어를 가진 슈퍼컴퓨터 중 유일하게 10페타플롭스(PFlops)를 넘겨 역시 동급 1위를 차지했다.

효율성 지표도 강점으로 꼽았다. 44위의 카카오클라우드 효율성은 89.7%, 70위의 카카오클라우드 효율성은 89.5%를 기록했다. 순위권 내 국내 13개 슈퍼컴퓨터의 경우 80.9%, 70.3% 정도의 효율성을 보였다. 

효율성은 실제 최대값(Rmax)과 이론상 최대값(Rpeak)을 나누어 계산하는데, 수치가 높을수록 뛰어난 가성비와 완성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어형 카카오엔터프라이즈 CTO는 “글로벌 인공지능(AI) 경쟁에 있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하는 슈퍼컴퓨터와 고성능 클라우드는 국가의 전략적 자산이라 생각한다"라며 “이번 순위에 만족하지 않고 카카오클라우드의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더 강력하고 효율적인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