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이 메타에 재생에너지를 공급하게 될 대규모 ‘태양광+ESS’ 복합단지를 완공했다고 30일 밝혔다.
한화큐셀은 태양광 모듈 등 핵심 기자재를 공급하고 EPC(설계·조달·건설)를 모두 수행했다고 강조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보레고 스프링스 지역에 위치한 이 복합단지는 50메가와트(MW) 규모의 태양광 모듈과 200메가와트시(MWh) 용량의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이루어졌다.
이곳에서 만들어진 재생에너지 전력은 메타에 공급될 예정이다. 메타는 2020년부터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해 왔으며, 2030년까지는 공급망 차원에서도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재생에너지 전환에 힘입어 한화큐셀은 글로벌 기업들과의 재생에너지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개발, 모듈 공급, EPC, 전력구매계약 체결에 이르는 ‘턴키’ 솔루션을 직접 제공한 미국 와이오밍주 소재 15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지난 4월 성공적으로 완공했다.
또 지난 1월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8년 간 총 12기가와트(GW) 규모의 태양광 모듈 및 EPC 서비스를 공급하기로 했다.
한화큐셀은 2022년 미국에서 개발한 ESS 프로젝트 7개를 판매하며 대규모 실적과 수익을 확보했으며, 이 중 380MWh 규모 ESS 프로젝트 1건은 개발은 물론 EPC의 전체 과정을 직접 수행한 바 있다.
이구영 한화큐셀 대표는 “한화큐셀은 북미 최대 규모의 태양광 제조 기지를 밑바탕으로 프로젝트 개발, EPC, 전력공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역량을 확대해나가고 있다”라며 “전력 수요가 높아지는 빅테크를 포함해 재생에너지 확대를 요하는 기업들에게 차별화된 통합 그린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파트너사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용 기자 future@aitimes.com
- 러시아 노바윈드, 말리에 아프리카 최대 규모 태양광 발전소 건설
- 경기, 기후위기 금융상품 자가용 태양광까지 확대
- 빌 게이츠 후원 풍력 스타트업, 생산 비용 50% 저렴한 새 방식 선보여
- 전남, 자가소비형 태양광 발전 전력 거래 실증 본격화
- 광명, 미니태양광 설치 보조금 지원사업 참여 가구 모집
- 지투파워, 113억 ‘액침 냉각’ 정부 과제 주관 선정
- 독일 폐광 호수에 부유식 태양광 시설 구축
- 한화큐셀, 미국 친환경 인증 획득..."공공 조달시장 공략"
- 부산, 8개 기관과 탄소중립 실현 '부산산단 지붕형태양광 프로젝트' 추진
- 한화로보틱스, 새 대표이사에 정병찬 CTO 내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