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이동로봇(AMR) 전문 미르는 12일 인터컨티넨탈 서울 그랜드 호텔에서 미디어 브리핑을 개최하고 비전 AI 기반 자재관리 로봇 '팔레트잭(Pallet Jack)'과 최신 AMR 동향에 대해 발표했다.
미르는 최근 엔비디아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젯슨 AGX 오린'으로 구동되는 비전 AI 기반 ‘미르 1200 팔레트 잭’을 출시한 바 있다.
팔레트잭은 비전 AI로 팔레트 감지가 가능해 랩핑된 팔레트나 손상된 팔레트도 감지하고 안전하게 옮길 수 있다. 팔레트는 물류터미널이나 공장에서 완성된 제품을 쌓아 놓고 한번에 옮길 때 사용하는 넓은 판을 뜻한다.
이주연 미르 이사는 "제조환경에서 사용하는 로봇은 인간 작업자와 안전한 협업이 중요하다"라며 팔레트잭은 비전 AI로 작업자 및 인프라를 식별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라이다와 카메라 센서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비전AI를 활용해 최적 경로로 이동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장애물 회피 및 충돌 방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변화하는 작업 환경에 적응할 수 있고 운반 가능한 무게별 다양한 라인업을 가진 AMR(Autonomous Mobile Robot) 등 이기종 로봇과 다중 작업에도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주연 이사는 "팔레트 잭이 적층구조에서 상단 모듈에 작업물을 끌어올리고 AMR이 하단부에서 작업물을 이동시키는 통합적인 인터페이스"라고 설명했다.
기존의 미르 AMR과 원활하게 통합이 가능하고, 미르의 데크 적재화물 AMR과 상호 운용되도록 설계된 팔레트 잭은 많은 로봇으로 복잡한 작업 흐름을 처리해야 하는 대규모 기업 고객들에게 매우 적합하다.
특히 올해 안에 출시되는 로봇 운영 소프트웨어 '미르 플릿 엔터프라이즈(MiR Fleet Enterprise)'를 통해 대규모 로봇을 통합적으로 운영·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클라우드 기반으로 필요에 따라 모듈식으로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됐다.
이주연 이사는 "국내 기업들은 보안을 이유로 클라우드 방식보다 구축형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편리한 기능과 데이터 분석 및 운영계획 설계라는 장점이 있어 많은 기업들이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캐빈 뒤마 부사장은 "가동시간을 극대화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미르 인사이트'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라며 "미르 플릿과 인사이트 모두 기업내 자원관리솔루션(ERP)이나 창고관리솔루션(WMS)와 연동할 수 있어 상호운용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라고 덧붙였다.
케빈 뒤마 부사장은 미르 제품군에서 AI 기능의 확장 계획도 밝혔다.
현재 "팔레트 잭은 물체를 회피하는 것 뿐만 아니라 팔레트와 인터랙션이 있어 AI를 적용하기 가장 적합한 모델이라고 판단해 우선 적용한 것"이라며 "다른 제품에도 AI를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올해 말 '플릿'과 '인사이트'에 챗봇을 추가해 로봇 운영에 대한 조언이나 문제해결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AI기능은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전했다.
이주연 이사는 제조 산업 현장에서 자동화 및 로봇 도입의 동향을 강조했다.
그는 "국내외 제조산업 현장에서 고령화, 인구감소 등의 이유로 공정 자동화가 절실한 상황"이라며 "미르의 제품은 변화하는 공장 환경에서 인식데이터를 학습하고 무제한으로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자동차 공장을 예로들며 "공정라인이 1~2년마다 바뀌면 컨베이터 벨트를 교체하는 경우가 많은데 AMR로 대체하면 변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라며 "미ㄹ의 토탈 솔루션으로 공장 내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로봇팔의 협업 기능과 AMR의 이동성을 결합한 ‘모바일 코봇(Mobile Cobot)’을 국내에 최초 공개했다.
모바일 코봇은 미르의 모회사 테라다인 로보틱스 관련 기업들의 역량을 모아서 구축한 제품이다. 유니버설 로봇의 관절 협동 로봇을 미르의 AMR에 탑재한 모바일 코봇은 현재 일부 고객사를 통해 상용 중이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