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보안관제시스템(SIEM) 전문 로그프레소(대표 양봉열)는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빅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그렇게 기록된 빅데이터의 조회 방법'으로 특허를 등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블록 스토리지에 1차 기록된 데이터를 수십배 밀집해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적재, 분석에 필요한 최소한의 열 데이터만 병렬로 읽어 들여 빠르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데이터 분석 작업에 클라우드 리소스를 N배 병렬 투입하면서도 소요시간은 N분의 1로 감소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로그프레스 관계자는 “개인정보보호법과 전자금융거래법 등 다양한 법령 상 통합보안관제 시스템은 최소 6개월에서 5년 이상의 장기 데이터를 보관하는 것이 의무”라며 “때문에 클라우드에서 레거시 통합보안관제 시스템을 운영하려면 온프레미스 환경에 비해 최소 수배 이상의 비용을 부담하거나, 클라우드 이전을 포기해야 했다”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기업의 경우 클라우드 SIEM 서비스에 장기 데이터를 오브젝트 스토리지로 이관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관한 데이터를 다시 불러오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과 별도의 청구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반면에 로그프레소는 합리적인 비용으로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저장, 별도의 이관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데이터를 직접 고속 분석할 수 있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실제 자체 테스트 결과, 원본 기준 1테라바이트(TB)의 웹 로그를 AWS S3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보관한 상태에서 임의의 분석 조건으로 10초 안에 통계 처리하는 강력한 성능을 보였다.
양봉열 로그프레소 대표는 "레거시 SIEM을 클라우드에서 운영한다고 해서 클라우드 SIEM이 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격 경쟁력이 있는 고성능의 보안운영 기술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특허 기술은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로 제공하는 로그프레소 클라우드에 통합해 서비스할 예정이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