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중국 아이폰 제조 공장을 최대 50%까지 자동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중국의 비중을 점차 줄이겠다는 의도다.
디 인포메이션은 24일(현지시간) 애플이 지난해부터 중국 아이폰 공장의 조립 라인 자동화를 위해 대규모 투자를 실시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이런 조치는 지난 2022년 11월 세계적으로 화제가 됐던 아이폰 중국 공장 구타 사건으로 촉발됐다. 당시 중국 당국은 코로나19에 따른 공장 봉쇄와 임금 인상을 주장하는 일부 노동자의 항의가 맞물려 무력 진압을 진행했다.
흰색 방호복을 입은 중국 공안이 애플 협력업체인 폭스콘 노동자를 구타하는 장면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퍼져나갔고, 당시 이를 목격한 애플 경영진은 충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비 칸 애플 운영 담당 수석 부사장은 앞으로 몇년 내 조립 라인 직원 수를 50%까지 줄이도록 지시했다.
또 이런 조치는 아이폰 생산 자동화를 가속, 결국 중국 공장을 철수하고 베트남이나 인도로 공장을 이전하는 데 도움이 될리 것으로 봤다.
애플은 미국과 중국의 기술 전쟁으로 인해 부담을 받고 있으며, 중국내 아이폰 판매량이 급감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결국 안정적인 사업을 위해서는 중국 비중을 낮춰야 한다는 결론이다.
이런 조치는 이미 효과를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2022년 애플의 중국 협력업체 직원 수는 160만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2023년에는 140만명으로 줄었다. 이 기간 중 공장 수는 300개에서 380개로 늘어났음에도 불구, 10년 연속 증가 추세를 처음 벗어난 것이다.
올 초 비전 AI 전문 스타트업 다윈(Darwin)을 인수한 것도 이 때문으로 알려졌다. 이 회사는 비전 AI를 활용, 조립 라인에서 발생하는 제품 결함을 탐지한다. 또 비슷한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 드리시티(Drishiti)도 지난해 인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공장 자동화는 아직 숙제가 많이 남은 것으로 알려졌다. 제품이 정교해짐에 따라 기계가 처리할 경우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인건비보다 기계 도입 비용이 더 큰 경우도 있다.
따라서 올해 말 출시될 아이폰 16의 경우, 일부 조립 과정에 자동화를 전격 도입하려던 애플의 계획이 취소됐다고 전해졌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애플, 메타와도 '시리' 탑재 논의...오픈AI 외 4곳과 추가 협상 중
- 애플, 유럽서 ‘애플 인텔리전스’ 출시 연기…EU 기술 규정 비난
- 애플, 온디바이스 AI용 모델·데이터셋 오픈 소스로 대거 출시
- 애플의 새로운 AI, 내년으로 출시 늦어질 듯..."시리 영어 버전만 챗GPT와 연내 통합"
- 애플, '시리' 전면 업데이트는 내년 봄에...카메라 달린 'AI 에어팟' 2026년 출시 예정
- 애플, 아이폰 판매 10% 증가 예상..."AI가 수요 확대할 것"
- "애플, 2026년 폴더블 아이폰 출시 예정"...AI 이어 디자인도 '삼성 추격'
- 폭스콘, 인도 공장에서 중국 엔지니어 추가 철수...아이폰 생산 또 차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