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가 통신·플랫폼 데이터를 학습시킨 소형언어모델(sLM) '익시젠(ixi-GEN)'을 출시했다. 이를 통해 B2B 분야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이다.
LGU+는 25일 LG AI연구원에서 개발한 대형언어모델(LLM) ‘엑사원(EXAONE)’을 기반으로 경량화한 익시젠을 개발했으며, 올해 안에 LGU+의 8개 AI 서비스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익시젠의 정확한 모델 사이즈는 밝히지 않았으며, 텍스트 생성 기능만 제공한다고 밝혔다.
LGU+는 익시젠의 장점은 효율성, 보안성, 신뢰성이라고 전했다.
우선, 미세조정에 필요한 학습시간을 줄여 통신 서비스에 빠르게 적용할 수 있다.
기업 내부 서버에 구축해 내부 데이터 유출 우려없이 공공·금융·제조 등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클라우드 환경에서 익시젠을 활용하는 기업은 LGU+가 제공하는 시스템 인프라와 서비스 컨설팅 등을 제공해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지적재산권과 저작권 등도 해결했다. 기반 모델이 된 엑사원을 라이센스가 없는 데이터 및 유해 정보가 필터링된 클린 데이터로 개발했기 때문이다. 또 LGU+는 LG AI 연구원 등과 협업해 그룹차원의 AI 신뢰성 확보를 위해 협력하고 있다.
익시젠은 ▲LGU+ 현장 근무자들이 네트워크 장애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돕는 업무 에이전트 ▲기업 내에서 단순 문의에 응답하는 챗 에이전트 ▲모바일 매장 어드바이저 등으로 활용된다.
이와 함께 AI 개발 플랫폼 ‘익시 솔루션(ixi Solution)’도 선보였다. 이를 활용하면 전문 개발자는 다양한 AI 엔진을 활용해 새로운 서비스를 빠르게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고, 비전문가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AI 서비스를 테스트하고 현업에 활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우선 임직원 대상으로 익시 솔루션을 오픈할 계획이다.
또 글로벌 빅테크나 기술 전문기업 등과의 적극적인 협업을 펼치는 ‘멀티 LLM’ 전략도 확대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어떤 LLM을 도입하는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황규별 최고데이터책임자(CDO)는 “익시젠의 강점은 ‘가벼움과 속도감’으로, 이를 앞세워 익시젠을 사내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할 것것”이라며 ”향후 LGU+는 익시젠과 익시 활용 사례를 늘려가며 AI 전환 혁신을 가속화하는 한편, B2B 영역으로의 사업 확장에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