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무하유)
(사진=무하유)

인공지능(AI) 전문 무하유(대표 신동호)는 2026년 상반기 기업공개(IPO)를 목표로 미래에셋증권을 대표 주관사로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무하유의 대표 서비스는 논문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다. 현재 국내 4년제 대학의 96%가 카피킬러를 도입해 활용하고 있으며, 공기관· 학교 및 연구원·사기업 등 3485 개 기관에서 약 1000만 명이 사용하고 있다. 또 챗 GPT 사용이 보편화된 후  지난해 95% 이상의 정확도로 생성 AI로 작성한 문장을 찾아내는 국내 최초의 디텍트GPT(DetectGPT) 솔루션 'GPT킬러'를 출시한 바 있다. 

2018년부터는 HR 시장으로 사업 범위를 확장해 AI가 입사지원자의 자기소개서 및 서류를 평가해주는 '프리즘'과 대화형 AI 면접 서비스 '몬스터'를 운영 중이다.

무하유는 지난해 11월 프리 IPO 단계에서 15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글로벌 시장 진출과 연구개발(R&D) 역량을 집약해서 '평가 자동화 서비스'도 개발한다는 목표다.

신동호 대표는 "무하유는 AI 표절탐지와 채용자동화의 영역에서 B2B SaaS로 사업모델을 구축해 오랜 기간 성장해 왔다"라며 "앞으로도 생성 AI가 보편화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기술과 서비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