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정부가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나오는 범죄 예측 시스템과 유사한 인공지능(AI) 미래 범죄 예측 부서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움직임이 부적절한 탄압과 인권침해 가능성 등 시민의 권리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가디언, 코인텔레그래프 등은 1일(현지시간)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AI을 활용해 미래 범죄를 예측하고 방지하기 위한 부서를 신설한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보안부는 사이버 범죄 및 사이버 업무 담당 국장이 이끄는 응용 AI 부서(UIAAS)를 아르헨티나 연방 경찰 및 보안군과 함께 설립한다. CCTV 이미지 실시간 분석을 통한 의심스러운 활동 감지 및 수배자 식별, 온라인에서의 비정상적 패턴 및 사이버 위협 탐지, 드론를 활용한 항공 감시, 로봇 활용 폭발물 처리, 의심스러운 금융 거래 감시 등이 주요 업무다.
눈에 띄는 업무는 '과거 범죄 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래 범죄 예측’이다.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잠재적 범죄 행위를 사전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치안부는 설명했다.
하지만 시민단체와 학계는 국가의 지나친 감시와 통제 시스템이 구축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아르헨티나 팔레르모대학교의 표현의 자유 및 정보 접근 연구센터는 X(트위터)에 “관련 기술 구현과 실행 가능성이 불확실하고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우려되는 결정”이라며 “과거 유사한 방식이 정부에 비판적인 학자, 언론인, 정치인, 활동가들을 프로파일링하는 데 사용됐다”라고 경고했다.
미라엘라 벨스키 국제앰네스티 아르헨티나 지부 사무국장도 “댓글이나 게시물이 당국에 의해 감시되고 있다고 사람들이 의심하기 시작하면 표현의 자유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이는 자신의 의견을 스스로 공유하지 않도록 장려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취임한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은 취임 직후 각종 범죄 행위 등에 강경한 대응을 예고한 바 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