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KT)
(사진=SKT)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텔코 엣지 인공지능(AI) 인프라 기반 자율주행 로봇의 PoC(기술 실증)를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실증은 고정밀 측위를 요구하는 실내 물품 운송 및 배송 로봇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 등으로 진행했다. 

지난 6월부터 2개월 동안 SKT 판교사옥에서 복잡한 내부를 이동하는 로봇이 카메라 및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등 센서로 정보를 처리하는 AI 기술력을 고도화했다. 관련 로봇 기술과 초정밀 측위 기술을 검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로봇의 자율주행에는 SKT의 VLAM(이미지 기반 센서 융합 측위 및 공간 데이터 생성 기술)을 적용했다는 설명이다. VLAM은 로봇에 탑재된 카메라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정밀한 위치를 파악, 로봇이 복잡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기반 측위 기술이다.

텔코 에지 AI 인프라의 경우, 자율주행 로봇의 정확성과 효율성에 초점을 맞췄다고 소개했다. 로봇 여러 대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환경에서는 실시간 정밀 측위와 실시간 AI 추론의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 텔코 인프라로 클라우드로 집중되는 연산 부담을 덜고 AI 추론을 실시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설명이다. 텔코 엣지 AI 인프라는 고비용 온디바이스 비전 AI 장비를 대체하는 효과를 입증했다고 덧붙였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담당은 "이번 실증으로 텔코 엣지 AI 기반 보안 기술과 저지연 서비스를 다양한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라며 “통신과 AI를 융합해 인프라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6G AI 유무선 인프라로의 진화를 기술개발, 글로벌 표준화, 초협력 측면에서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