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1945년 광복 전후의 영상 및 음원을 더욱 선명하게 복원하는 ‘815 리마스터링’ 프로젝트를 진행했다고 14일 밝혔다.
SKT는 79번째 광복절을 맞아, 1945년 8월16일 광복 후의 풍경을 간접 경험해보도록 돕자는 취지에서 프로젝트를 기획했다고 전했다. 8월15일 광복 사실을 몰랐던 많은 사람들이 하루 뒤인 16일에야 거리로 쏟아져 나왔는데, 그 장면이 영상에 담겨있다.
SKT는 AI 미디어 개선 및 복원 솔루션인 ‘슈퍼노바(SUPERNOVA)'를 활용해 저화질 영상을 고품질로 개선했다. SKT 관계자는 “AI 및 딥러닝 기반 화질 복원, 초해상화 기술 등을 적용해 원본 콘텐츠의 품질을 향상했다”라고 말했다.
영상과 함께 개선한 음원은 현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애국가 육성 음반이다. 대한인국민회가 1942년 8월29일 국치일을 기해 독립의 각오를 다지며 제작 배포한 앨범에 수록된 곡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는 독립기념관이 소장하고 있다. 이 음원 역시 머신러닝 기반의 음원 분리 기술을 활용, 주변 소음 같은 잡음을 제거하고 고품질의 목소리로 복원했다.
SKT는 복원된 영상과 음원을 합쳐 제작한 ‘815 리마스터링’ 영상을 유튜브 채널에 공개하는 한편, 향후 독립기념관 내에도 전시할 계획이다. 앞서 2020년 독립기념관과 'MR/AR 에코뮤지엄 구축사업' 협약을 체결한 후 올해까지 5년째 다양한 AI 및 디지털 콘텐츠를 공동 기획하고 있다.
박규현 SKT 디지털Comm담당 부사장은 “창사 40주년을 맞은 올해, ’글로벌 AI 컴퍼니’로서 AI를 소재로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만들고 고객과 공감대를 형성하려 노력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SKT의 여러 기술을 바탕으로, 사회적·국가적 의미를 디지털 특성에 맞게 잘 전달하고 대외적으로 소통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