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가 클라우드 스타트업 람다와 손잡고 서울에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연다.
SK텔레콤(대표 유영상)는 람다와 ‘AI 클라우드 공동 사업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양사는 안정적인 GPU 공급을 바탕으로 한 사업 확대, 람다의 한국 리전 설립 등 전략적 협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람다는 엔비디아로부터 최신 GPU를 공급 받아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를 고객사로 유치했다.
SKT는 최근 AI 인프라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양사는 오는 12월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에 위치한 기존 SK브로드밴드 데이터센터에 엔비디아 GPU ‘H100’을 배치할 예정이다.
람다가 보유한 엔비디아 GPU 자원을 SK브로드밴드의 서울 가산 데이터센터에 전진 배치하는 것이다. SKT는 AI 데이터센터에 배치할 GPU를 3년 안으로 수천 대 이상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최신 GPU 모델인 ‘H200’도 조기 도입을 추진 중이다.
SK브로드밴드는 데이터센터 운영 노하우를 살려 고밀도 GPU 서버 운영 환경에 최적화된 데이터 코로케이션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GPU 서버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가산 데이터센터의 랙 당 전력밀도를 국내 최고 수준인 44킬로와트(kW)로 구현한다는 설명이다. 이는 국내 데이터센터 랙 당 평균 전력밀도인 4.8kW의 약 9배에 달한다.
SKT는 람다 GPU 자원을 기반으로 구독형 AI 클라우드 서비스인 ‘서비스형 GPU(GPUaaS)’도 12월 출시할 계획이다. GPUaaS는 기업이 AI 서비스 개발이나 활용에 필요한 GPU를 직접 구매하지 않고, 클라우드를 통해 가상 환경에서 자원을 빌려 쓰는 서비스다.
스티븐 발라반 람다 CEO 겸 창업자는 “SKT와는 GPU 컴퓨팅 자원을 전기처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는 비전을 공유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김경덕 SKT 엔터프라이즈 사업부장은 ”람다와의 전략적 협력으로 GPU를 안정적으로 확보한 것은 국내 GPU 공급 확대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라며 “향후 국내 최대 규모의 GPU 팜을 구축해 국가 AI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 SKT, ‘AI 로봇 농구 챌린지’ 개최...학생 등 300여명 참여
- SKT, 리벨리온 합병 본계약 체결...리벨리온 경영진이 새 회사 이끌어
- SKT, AI로 복원한 ‘815 리마스터링’ 영상 공개
- SKT, '에이닷'에 GPT-4o·클로드 등 무료 추가...네이버·뤼튼 등과 B2C 경쟁 본격화
- SKT "퍼플렉시티 제휴로 AI 검색 우위 차지할 것...서치에서 앤서로 진화"
- SKT, 노인 보이스피싱 예방 교육에 AI콜 활용
- SK, '에이닷'으로 Btv 서비스 고도화..."온디바이스AI 셋톱박스가 트렌드 될 것"
- SK브로드밴드, ‘AI 키즈 콘텐츠’ 선보여…”멀티모달 기반 동화 콘텐츠까지”
